증권 증권정보

기관이 1월 초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특정 종목

기관이1월 초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특정 종목 (확인)





기관들이 1월 초에 집중적으로 산 종목은 1월 뿐 아니라 상반기 성과가 상당히 좋다는 결과가 나온다. ‘12년부터 작년까지 1월 첫 주에 높은 기관 순매수 강도를 보인 상위 10%의 종목군은 1월에 코스피대비 평균 +10.4%p, 상반기에 +12.2%p, 연간 기준으로는 +14.8%p 더 높은 성과를 보였다. 1월 초 기관들의 심리를 활용하는 전략을 생각할 수 있겠다. 연초부터 해당종목에 대한 매수세를 집중하는 것은 해당 종목에 대한 강한 확신이자 올 한해동안 주가 부양의지가 담긴 책임감까지 엿볼 수가 있다는 판단이다. 결국 올해에도 주도주는 기관들의 많이 들고 있지 않은 실적 턴어라운드에서 나온다고 했을 때, 그 종목 중에서 연초에 기관들이 힘을 주어 매수하는 쪽에 대한 관심은 상당히 필요해 보인다 (3년 기관 순매도 강도 낮고 실적이 상향조정되며 1월 초 기관들이 매수 강도가 강한 종목이 가장 유리한 컨셉).



비트코인광풍리플로 이어가나…? 암호화폐 열풍 어디까지…? 관련 매수 기회 종목 TOP 10 (클릭)




관련기사



연초에는 스타일 측면에서 계절성이 있다. 연초부터 실적에 대한 베팅을 하는 것이 라기 보다는 3년 정도 긴 시계열 측면에서 기관 수급이 많이 빠져나갔거나 낙폭이 과대했던 종목에 대한 막연한 기대의 베팅이 이루어져왔다. 일명턴어라운드라는 단어가 가장 잘 작동(working)하는 시기인 것이다. 실제로 ‘12년도부터 올해까지 연초 1분기동안 스타일 성과를 평균했을 때, 일반적인 이익모멘텀 팩터는 +3.6%(-)를 기록하였고 3년 기관 순매도 강도(빈집) 상위 팩터는 +5.2%, 3년주가 이격도 하위(낙폭과대) 팩터는 +3.8%로 이익 팩터의 성과를 능가했다. 다만 3월부터는 1분기 실적시즌에 대한 힌트가 서서히 나타나는 상황에서 이익 팩터가 급등하고 수급 및 주가 팩터는 급락했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1월 및 2월의 주가 낙폭과대 및 기관 수급 빈집 팩터의 성과는 훨씬 더 좋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의 관심종목

포스링크(056730), 삼성엔지니어링(028050), 일성건설(013360), 카프로(006380), 신라섬유(001000)



▼▼ 100% 거짓 없는실제 후기! 마이너스 계좌 2천만원 수익 계좌 만들기! 비법 무료 공개!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