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현장] 언론노조 “‘화유기’ 중단이 목적 아니다..방송의 안전 불감증 대책 필요”

전국언론노동조합(이하 언론노조) 김환균 위원장이 ‘화유기 사태’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4일 오후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 전국언론노동조합(이하 언론노조) 회의실에서 tvN 토일드라마 ‘화유기’ 제작 현장 추락 사고 대책 수립 촉구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날 자리에는 언론노조 김환균 위원장과 언론노조 MBC 아트지부 김종찬 지부장, 하반신 마비 판정을 받은 A씨의 동료들, 그리고 ‘혼술남녀’ 故 이한빛PD의 유족인 동생 이한솔씨 등이 참석했다.

김환균 언론노조위원장이 4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회의실에서 열린 ‘화유기’ 추락 사고 현장 조사 결과 발표와 재발 방지 대책 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에 참석했다./사진=지수진 기자김환균 언론노조위원장이 4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회의실에서 열린 ‘화유기’ 추락 사고 현장 조사 결과 발표와 재발 방지 대책 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에 참석했다./사진=지수진 기자


김환균 위원장은 “이번 사건이 단순히 일회성 사건으로 마무리 되지 않기 위한 요구안을 말하고자 함”이다고 전하며 “정부 차원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화유기’ 중단이 목적이 아닌 방송의 안전 불감증에 대한 대책이 필요함을 말하고자 함”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많은 네티즌은 드라마 ‘화유기’가 중단되느냐 마느냐에 관심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런 제작현장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는 사회 문제 되지 않았다. 알게 모르게 다쳤고, 목숨까지 잃었다. 이 점을 주목해달라”고 덧붙였다.


언론노조는 “‘화유기’ 현장 조사 결과에 대해 사고 후에도 현장 안전 대책이 마련 되지 않았고, 위험 요소가 가득하고 제작사 현장 책임자는 업무 지시가 아니라 ‘고지’였다며 책임 회피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고용노동부에 철저한 조사와 책임자 엄벌, 안전 확보 시까지 작업중지 명령 요구, 이번 사고 해결 과정, 드라마 제작 현장 완전히 뜯어고치는 계기로 삼아야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언론노조 측은 “고용노동부가 ‘화유기’ 작업 중단을 요구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작업 중단을 요구한 적은 없다. 편성이 잠시 유보된 것 뿐”이라고 밝혔다. 고용노동부는 천장 작업 중지 명령, 세트장 내 목재 사다리 사용 금지를 지시했다.

‘고용노동부가 작업 중지를 요구할 권리 가 없다’는 보도와 관련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고용노동부는 중대재해가 발생했을 때 작업 중지를 요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tvN 주말극 ‘화유기’ 는 지난 24일 제작 지연으로 방송사고가 난 데 이어 촬영장에서 스태프 추락사고가 있었던 사실이 26일 뒤늦게 알려지면서 28일에는 고용노동부의 현장조사까지 이뤄졌다. 경기 안성경찰서는 3일 스태프 추락 사고 현장 목격자들에 대한 참고인 조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

tvN은 지난달 29일, 3회를 30일에 방송하고 4회를 차주로 미루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사고가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제작 환경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며 “철저한 점검과 보완의 과정을 거쳐 양질의 프로그램으로 보답하겠다”고 전했다.

/서경스타 정다훈기자 sestar@sedaily.com

정다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