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도로 가까이 사는 아이, 폐렴·천식 걸릴 가능성 높다

인하대 의대 '2.627명 추적 연구'

주요 도로 200m 이내 사는 아이들

모세기관지염 걸릴 위험 1.6배 높아

임종한 인하대의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팀은 6~14세 아동을 2년간 추적 연구한 결과 차량 통행이 잦은 주요 도로 반경 200m 이내 사는 아이들은 ‘모세기관지염’에 걸릴 위험이 1.6배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서울경제DB임종한 인하대의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팀은 6~14세 아동을 2년간 추적 연구한 결과 차량 통행이 잦은 주요 도로 반경 200m 이내 사는 아이들은 ‘모세기관지염’에 걸릴 위험이 1.6배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서울경제DB


차량 통행이 잦은 주요 도로 반경 200m 이내에 사는 아이들은 ‘모세기관지염’에 걸릴 위험이 1.6배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모세기관지염은 기관지 끝 부분인 허파꽈리에 염증이 생긴 생태를 말한다. 아이들한테 잦은 질환으로, 처음에는 감기 증세를 보이다가 폐렴이나 천식 등으로 악화할 수 있다.

임종한 인하대학교 의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팀은 아동건강환경조사에 참여한 6∼14세 아동 2.627명을 대상으로 거주지역 주변의 도로 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연구팀은 연구에 참가한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폐 검사를 한 뒤 추척 관찰이 가능했던 1.852명의 건강상태를 2년 뒤에 다시 확인했다.


연구팀은 아이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200m 이내에 있는 도로의 총 길이가 길수록 모세기관지염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집에서 200m 이내에 있는 도로의 총 길이가 500m 이상인 아이들은 도로의 길이가 100m 미만 경우에 견줘 모세기관지염 발생 확률이 1.6배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주거지역 주변 도로 환경은 천식 발병과도 관련이 있었다.

관련기사



집 주변 200m 이내의 도로 길이가 500m 이상이면서 모세기관지염을 앓는 아이들은 새롭게 천식으로 진단받을 위험도가 500m 이하인 아이들보다 2.7배 높았다. 도로와의 거리 기준을 75m 미만으로 좁혔을 때는 75m 이상인 경우보다 천식 진단 위험이 3.6배로 치솟았다. 천식의 대표 증상 중 흔히 ‘쌕쌕거림’으로 표현되는 천명 발생 위험도 같은 조건에서 2.2배 상승한 것으로 관찰됐다.

임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도로와 인접해있고, 소음이나 분진을 막아주는 보호막이 없는 환경에 노출된 아이들이 기관지염이나 천식 발생에 더 취약하다는 그동안의 가설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도로 주변에 사는 아이들의 건강권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열악한 도로 및 주거환경을 개선하려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