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강릉 '음식값 인상' 논란…외식업지부 '자구책' 마련

최명희 강릉시장 "논란 된 음식점들 곧 정상화"

8일 한국외식업중앙회 강릉시지부 관계자들이 강릉시청에서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값이 오른 음식값의 안정화를 위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8일 한국외식업중앙회 강릉시지부 관계자들이 강릉시청에서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값이 오른 음식값의 안정화를 위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올림픽을 앞두고 숙박요금에 이어 음식값 인상이 이어지자 지역 이미지 훼손을 우려한 시민들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8일 한국외식업중앙회 강릉시지부는 강릉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일부 업소가 올린 음식값을 낮추거나 원래대로 환원하고 가격 인상도 최대한 자제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주국 지부장은 “최저임금, 식재료 가격 인상, 특히 계속되는 수산물 어획부진, 시설개선 등과 같이 음식값 상승의 여러 요인이 있었지만 가격 안정화를 위한 자구노력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경포의 S 횟집, B 횟집 등은 2만원 받던 오징어 물회를 1만5,000원으로 내렸다. 물회로 유명한 사천지역도 대부분 1만7,000∼1만8,000원이던 물회 값을 1만5,000원선으로 내렸다고 이들은 전했다. 동계올림픽 기간에는 올림픽 경기 입장권을 소지한 손님에 대해 10%씩 음식값을 할인하는 행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최명희 강릉시장도 호소문을 발표했다. 최 시장은 “한번 뇌리에 박힌 이미지는 쉽게 지워지지 않고 회자하기 시작하면 쉽게 진화하기 어렵다”며 “새롭게 논란이 된 음식값도 착한 음식업소들을 중심으로 조만간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릉시는 동계올림픽 특수와 KTX 경강선 개통으로 예상되는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발 빠른 대책을 마련한다. 시는 우선 공공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개인서비스 사업자들에게는 물가안정에 동참해 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다. 가격 모범 업소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주고 과도한 물가 인상 업소는 각종 불이익을 주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올림픽을 앞두고 숙박업소의 바가지요금 논란에 이어 음식값 인상도 이미 논란이 불거진 뒤에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림픽이 가까워지면서 음식값이 슬금슬금 값을 올라 불만이 쏟아졌다. 특히 강릉을 대표하는 음식값이 크게 올라 지역주민은 물론 관광객들에게 부담됐다. 만원으로는 강릉의 대표 음식을 먹을 수 없다는 불평이 있었다. /홍태화인턴기자 taehwa@sedaily.com

홍태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