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가상화폐? 암호화폐? 가상통화? 명칭부터 혼선

정부, 상품 교환가치 측면서 구체 지불수단 '화폐'로 인정 안 해

업계측, ‘용어 확립 과정에서 과도기를 겪는 것’

서울 중구의 한 가상화폐 거래소의 모습이다./연합뉴스서울 중구의 한 가상화폐 거래소의 모습이다./연합뉴스


최근 가상화폐(암호화폐·가상통화) 열풍이 불면서 시장에서는 가격이 요동치고 정부 규제책이 쏟아지는 등 혼란스러운 모습이 이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장과 정부에서 이를 지칭하는 통일된 명칭마저 없어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장에선 가상화폐나 암호화폐, 정부는 가상통화란 명칭을 쓰고 있는데 미묘하지만, 상징적인 의미에 차이가 있다. 원래 가상화폐나 암호화폐, 가상통화 등 명칭의 상위 개념은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다. 이는 동전이나 지폐와 달리 물리적인 형태가 없다. 전자 화폐(electronic currency)라고 불리기도 한다.

민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가상화폐(virtual currency)는 실물이 없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상 공간에서 사용하는 전자화폐다. 위키백과는 정부에 의해 통제를 받지 않는 디지털 화폐의 일종으로 개발자가 발행·관리하며 특정한 가상 커뮤니티에서만 통용되는 결제 수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가상화폐의 일종이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가상공간에서 사용하면서 암호를 사용해 새로운 코인을 생성하거나 거래를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화폐다. 비트코인을 최초의 암호화폐로 볼 수 있고 이더리움이나 라이트코인, 리플 등도 암호화폐다.

관련기사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과 맞닿아 있다. 데이터가 모든 참여자에게 분산 저장돼 누군가가 데이터를 위·변조한다고 해도 신뢰성이 깨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 정부는 그러나 가상통화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여기에는 우선 가상화폐(virtual currency)에서 ‘currency’를 ‘화폐’보다는 ‘통화’로 번역하는 것이 맞는다는 판단이 깔렸다. 상품 교환가치의 척도라는 제도적인 의미에서 화폐가 통화보다 강력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화폐가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돈’이라는 개념이 강하다면 통화는 화폐를 포함해 유통이나 지불수단을 전반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이라는 것이다. 또한 가상화폐를 제도권의 지급 수단으로 인정할 수 없어 화폐 대신 통화로 통일한 측면도 있다.

업계에선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명칭이 통일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용어가 확립되는 과정에서 현재 일종의 과도기를 겪고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