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대기업, 벤처M&A 활성화…4차산업혁명 성공시켜야"

[국회 4차혁명委 공청회]

문어발 확장 부정적 시선 걷고

'규제 빅딜' 통한 공정경쟁 유도

기술거래시장 정착 노력도 필요

9일 국회 본관에서 열린 국회 4차산업혁명특별위원회 ‘혁신시스템, 규제정책, 일자리안전망 공청회’에서 이민화(가운데) KAIST 교수가 이 근(왼쪽)서울대 교수, 최영기(오른쪽) 전 한국노동연구원장 등과 함께 4차산업혁명 성공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고광본 선임기자9일 국회 본관에서 열린 국회 4차산업혁명특별위원회 ‘혁신시스템, 규제정책, 일자리안전망 공청회’에서 이민화(가운데) KAIST 교수가 이 근(왼쪽)서울대 교수, 최영기(오른쪽) 전 한국노동연구원장 등과 함께 4차산업혁명 성공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고광본 선임기자




“4차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해서는 대기업이 벤처기업을 인수합병(M&A) 하도록 적극 장려해야 합니다”(이 근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9일 국회 본관에서 국회 4차산업혁명위원회(위원장 김성식 의원) 주최로 열린 ‘4차산업혁명 혁신시스템, 규제정책, 일자리 안전망 공청회’에서는 대기업과 벤처기업 간의 화학적 결합을 통한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에 대한 중요성이 집중 논의됐다. 이날 진술인으로 참석한 이 교수는 “대기업이 벤처기업을 M&A하려고 해도 경제력 집중이나 문어발 확장으로 보는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매우 꺼리고 있다”며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게 필요하다”고 힘줘 말했다.


정부는 대기업이 벤처기업을 M&A할 경우 계열사 편입을 7년간 유예하고 기술취득도 R&D(연구개발)과 동등하게 간주하는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사회적으로 부정적 기류를 걷어내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얘기다. 실제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대기업들이 국내 벤처기업을 M&A하는 것을 크게 주저해 국내에서는 전통 대기업에 의한 벤처 M&A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 교수는 “대기업이 벤처기업을 M&A하다 보면 대기업 인재들도 벤처 창업을 위해 뛰쳐나가며 벤처가 활성화될 것”이라며 “벤처·스타트업은 IPO(기업공개) 이전에 M&A를 통해 이익을 거둘 수 있어 윈윈”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최운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재벌대기업이 경영투명성을 높이고 공정경쟁을 하면서 벤처 M&A를 활성화하는 소위 ‘규제 빅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대기업의 인력과 기술 빼가기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신용현 국민의당 의원은 “대기업이 중소벤처 M&A를 안 하고 ‘사람 빼가기’를 하고 있다”며 “정부출연연구원에서 기술 개발한 뒤 비즈니스 파트너를 찾을 때도 대기업한테 주려고 하면 부정적 시각이 있고 중소기업은 능력이 안되는 경우가 많은데 M&A 활성화를 위해 기술거래시장이 정착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4차산업혁명을 위해 개인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이민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개인정보를 활용하지 못 하면 빅데이터가 안 만들어지고 결국 4차산업혁명의 길이 막혀 추락할 것”이라며 “클라우드 사용과 공공데이터 개방을 가속화고 개인정보 일부를 삭제하거나 대체한 개인정보 비식별정보를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최영기 전 한국노동연구원장은 “일본은 부흥전략으로 4차산업혁명을 정의했다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개념으로 소사이어티 5.0으로 확장했다”며 4차산업혁명을 기술 위주로 좁히지 말고 노동시장 개혁 등 사회적 의제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