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카드 포인트, 현금처럼 ATM기에서 찾아 쓸 수 있어 '표준약관 개정' 추진

향후 신용카드 이용자들이 신용·체크카드를 쓸 때 쌓이는 포인트를 현금처럼 자동화기기(ATM) 등으로 찾아 쓸 수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연간 1조 4000억원 정도의 포인트가 현금으로 바뀌는 것.

금융감독원과 여신금융협회는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여신전문금융회사(이하 여전사) 표준약관 개정을 추진한다고 10일 발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신용카드 이용자들은 카드사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포인트를 현금으로 전환하고, 이를 ATM에서 찾을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TM에서 찾을 수 없는 1만 포인트 미만은 카드대금과 상계(相計)하거나, 카드대금 출금 계좌로 입금되는 방식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다.


카드 포인트 적립액은 2011년 2조 1935억원에서 2016년 2조 6885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에만 1조 4256억원이 쌓인 것으로 전해졌다. 포인트가 적립된 지 5년을 넘기거나 탈회·해지 등으로 사라진 포인트도 2011년 1023억원에서 2016년 1390억원, 지난해 상반기 669억원으로 늘었다. 신용카드 이용자가 현금으로 돌려쓸 수 있는 카드 포인트는 연간 최대 1조 4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금감원은 분석했다.

관련기사



해외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부담해야 하는 수수료도 저렴해 질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국내 신용카드사는 해외 카드 이용액에 비자(VISA) 등 국제 브랜드사 수수료 1%가량을 포함해 이를 기준으로 0.2% 수준의 해외 서비스 수수료가 더해진다. 금감원은 앞으로 순수 카드 이용액을 기준으로 해외 서비스 수수료를 산정하도록 약관에 명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카드 사용자 부담은 연간 3억원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 할부금융사(캐피탈사)들의 고금리 대출에 대한 ‘금리 인하 요구권’과 카드사들의 리볼빙(결제금액 일부를 미루는 것) 예상 결제정보 등의 안내가 강화될 방침이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