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KB-KEB-기업-신한은행, 가상화폐 입출금 서비스 도입없어 '기존 가상계좌도 닫겠다'

시중은행들이 실명확인 가상계좌 서비스에 나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거래소 등 업계가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12일 신한은행과 기업은행 등 시중은행은 준비 중이던 실명확인 가상계좌 입출금 서비스를 도입하지 않고 기존 가상계좌도 점진적으로 닫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KB국민은행과 KEB하나은행도 가상화폐를 둘러싸고 혼란이 빚어지면서 조심스러운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당국의 방침이 정해질 때까지 가상계좌 서비스에 나서지 않겠다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중은행의 이 같은 움직임에 거래소 등 업계에서는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제시했다.

현재 신한은행에서 가상계좌를 받는 국내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은 당장은 뾰족한 수를 내놓지 못한 채 사태를 파악하고 있다.

빗썸 관계자는 “NH농협은행에서도 가상계좌를 제공받는다”며 농협은행 쪽으로 고객을 유도하는 방법이 있다고 밝혔다.


한 거래소 관계자도 “상황을 살펴보고 있다”며 “가상계좌를 아예 막는 것은 투자자 반발 등을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빗썸·코빗·업비트 등 주요 거래소가 가입한 한국블록체인협회 준비위원회는 당국과의 조율로 자유규제안도 만든 상황에 거래소 폐쇄와 가상계좌 서비스 철회가 거론되는 것에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

김진화 블록체인협회 준비위 공동대표는 “자율규제안에 따라 본인 확인을 강화한 입출금 서비스를 1월 1일부터 했어야 한다”며 “정부가 이렇게 하니 은행이 뒤로 물러났다”고 말했다.

그는 “어제 사태도 있었고 가상화폐 투자자 피해나 풍선효과, 지하화에 따른 영향은 당국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투자자들의 원성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투자자들이 실명확인 가상계좌 입출금 서비스 철회를 밝힌 신한은행에 대해 불매운동을 벌이겠다는 게시글이 계속됐다.

한 투자자는 “정부의 말 바꾸기 때문에 투자하기가 더 힘들어졌다”며 “정부가 가상화폐 시장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