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이란 "美, 핵협정 파기시 핵무기용 우라늄 농축"

트럼프, 오늘 이행 여부 결정 예정

英·佛·獨은 "합의 준수" 美에 촉구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뉴욕=AP연합뉴스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뉴욕=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이란 정부가 국제사회와 맺은 핵협정이 파기될 경우 이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우라늄 농축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조만간 이란의 핵협정 준수 여부를 재평가할 예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를 향해 핵무기를 만들 수 있다며 으름장을 놓은 것이다.


베루즈 카말반디 이란 원자력청 부청장은 11일(현지시간) 국영TV와의 인터뷰에서 “이란은 여러 영역, 특히 농축 분야에서 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 이전보다 몇 배 더 빠르게 핵 활동을 강화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카말반디 부청장은 그러면서 “(핵협정에 따른 미국의) 제재 중단이 연장되지 않는다면 이란도 즉각 첫 번째 보복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8일 알리 악바르 살레히 이란 원자력청장도 아마노 유키야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장과의 전화통화에서 “핵협정에 따라 고농축 우라늄을 개발하지 않고 있지만 마음만 먹으면 핵무기용인 20% 수준의 농축 우라늄을 닷새 안에 생산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관련기사



이란 정부가 핵무기를 위한 우라늄 농축을 진행할 수 있다고 엄포를 놓은 것은 트럼프 미 행정부의 이란 정부에 대한 핵협정 준수 재평가가 임박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의 핵 합의 이행에 대한 불인증을 선언했으며 미 의회에 보고하는 이란핵합의재검법(INARA)에 따라 12일(한국시간 13일 오후1시)까지 이란 제재 재개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국제사회의 대미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페데리카 모게리니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와 영국·프랑스·독일 3개국 외교장관은 11일 브뤼셀에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교장관과 회담한 뒤 “이란과 2015년 체결한 핵 합의는 국제안보를 위해 필수적”이라며 미국의 협정이행을 촉구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이란 핵 합의 지지 의사를 밝히며 트럼프 대통령에게 핵 합의 준수를 강조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이 역내불안을 야기하는 활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