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리뷰] ‘1급기밀’ 故홍기선 감독의 고발 3부작..내부자들의 ‘군피아’

‘1급기밀’은 결국 인간 본연이 갖춰야 할 ‘정의’에 대해 말하는 영화다.

사진=리틀빅픽처스사진=리틀빅픽처스





영화 ‘1급기밀’이 11일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 언론시사회를 통해 처음 공개됐다.

‘1급기밀’은 국가라는 이름으로 봉인된 내부자들의 은밀한 거래를 폭로하는 범죄실화극. 고(故) 홍기선 감독의 유작으로, ‘이태원 살인사건’, ‘선택’에 이은 그의 사회고발 3부작 마지막 작품이다.

1997년 국방부 조달본부 외자부 군무원의 전투기 부품 납품 비리 폭로와 2002년 공군의 차세대 전투기 외압설 폭로, 2009년 MBC ‘PD수첩’에서 방영된 해군장교의 방산비리 폭로 등 실제 사건들을 모티브로 했다. 국내 최초 방산비리 소재작으로, 현재 진행 중인 실화를 과감히 들췄다.

‘1급기밀’은 우민호 감독의 ‘내부자들’을 일부 떠올리게 한다. 군대, 언론, 정재계의 철옹성 같은 최고위층이 연루돼 어느 누구도 이야기할 수 없었던 그들만의 은밀한 거래를 다룬다. 이익집단의 꼼수에, 곧 최대 희생자는 ‘국민’이 된다.


특히 군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일반인들이 좀처럼 알기 힘든데, ‘1급기밀’은 그만큼 깊이 뿌리박힌 ‘군피아’ 문제를 꼬집으며 부조리를 저격했다. 무엇보다 정의로워야 할 그곳에서 ‘정의’가 지켜지지 않음에 탄식을 넘어 분노가 치민다.

관련기사



사진=리틀빅픽처스사진=리틀빅픽처스


영화는 감히 쉽게 해결할 수도, 누설할 수도 없는 국방부 비리 문제를 철저하게 고발한다. 항공부품구매과 중령 박대익의 올곧은 시선이 국방부 입장에서는 ‘불편한 사건’의 도화선이 된다. 아무리 언론이 함께한다 해도 한낱 개인으로써는 ‘계란으로 바위치기’ 싸움이다. 국방부 조직도 안에는 이미 철저한 모종의 관계가 형성돼 있는 상태.

권력의 핵심인 군수본부 외자부장, 충성과 복종을 행하는 군수본부 대령, 아첨꾼 항공부품구매과 주임 등이 유기적이고 탄탄하게 거미줄을 짜놓았다. 무고한 희생양은 박대익 중령과 파일럿들이다. 적폐의 그늘에서 박대익과 파일럿들은 ‘인간’이라기보다 ‘항공기의 부품’과 같았다. ‘군피아’에게 그들은 얼마든지 쉽게 갈아 끼울 수 있는 존재였다.

영화는 박 중령의 행동을 중심으로 따라간다. 의문의 쾌속 승진, 문제 제기, 회유, 억압, 언론 고발, 목숨을 잃을 위기의 과정을 겪는 그는 오로지 ‘정의’를 향해 질주한다. 우직하고 끈질기게 달려가는 모습이 이상적인 군인 그 자체다. 이는 곧 홍기선 감독의 신념과도 일맥상통해 눈길을 끈다. 홍기선 감독은, 이명박이 방산비리의 몸통으로 의혹 받은 MB정부 시절 ‘1급기밀’을 준비하는 용기 있는 선택을 했다.

곧고 곧은 직진 형태의 전개가 다소 평면적이기는 하다. 그 틈은 배우들의 열연이 메운다. 김상경, 김옥빈은 군인과 기자의 소임을 다하는 정의로운 모습, 최무성, 최귀화, 김병철은 관행과 병폐에 찌든 악한 모습을 실감나게 보여준다. 이 가운데 최귀화의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악역 연기는 흡입력이 가장 뛰어나다.

‘1급기밀’은 가슴 뜨겁게 ‘옳음’을 추구하면서 시원하게 비리를 폭로한다. 마땅히 해야 할 이야기의 영화가 나온 정신과 용기에 박수를 보낸다. 24일 개봉.

/서경스타 한해선기자 sestar@sedaily.com

한해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