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미세먼지 측정치와 체감도 다른 이유는 측정소 높이 때문

송옥주 의원실 조사 결과, 10곳 중 8곳 꼴로 ‘높아’

20m보다 높은 곳에 있는 측정구, 단계적으로 이전

시야가 흐리고 공기도 좋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공식 미세먼지 농도가 낮게 발표되는 것은 측정소의 측정구 위치가 지나치게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도시대기측정소 264개 가운데 설치·운영 지침을 지킨 곳은 46곳(17.4%)에 그쳤다.

현행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 지침에 따르면 측정구는 원칙적으로 사람이 생활하고 호흡하는 높이인 1.5∼10m에 있어야 한다. 불가피한 경우 높이를 조정할 수 있지만 이때도 30m를 넘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환경부와 의원실의 조사 결과 전국 대기측정소 측정구의 높이는 평균 14m로 아파트 6층 높이 수준이었다. 이 가운데 전체의 44%인 측정소 117곳의 측정구가 10∼15m 수준이었고, 높이가 15∼20m인 측정소도 75곳(28.4%)이나 됐다.

관련기사



실제 체감하는 미세먼지 농도와 공식 발표치가 차이가 나는 것은 이 때문이라는 게 의원실의 설명이다. 환경부가 지난해 11월부터 연말까지 전국 도시대기측정소(측정구 높이 10m 이상), 지상(측정구 높이 2m) 각 10곳의 산출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10곳 중 7곳에서 기존 대기측정소 대비 이동측정차량의 미세먼지 PM10 농도가 더 높게 나왔다. 일례로 측정구 높이가 24.6m로 가장 높은 서울 서대문구 측정소는 한때 측정구 수치가 32㎍/㎥일 때 지상 농도는 41㎍/㎥로 측정됐다.

환경부는 이번 실태 조사를 토대로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지침을 지난 10일을 개정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도시대기측정소의 측정구 높이는 원칙적으로 1.5∼10m를 유지해야 한다. 불가피한 경우라도 20m보다 높아서는 안 된다. 10∼20m 사이라도 예외 요건을 만족해야 하고 평가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홍동곤 환경부 대기정책과장은 “20m보다 높은 측정구는 단계적으로 이전해 측정치와 체감오염도의 차이를 최대한 줄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