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다스 비자금 조성" 내부자 진술에도 개인횡령 결론낸 정호영 특검

최근 검찰에 “과거 특검 수사에서

잘못된 진술 있었다” 다스 임원 자수서

이명박 전 대통령의 다스 실소유 의혹을 수사한 정호영 BBK 의혹사건 특별검사팀이 다스 내부 관계자로부터 조직적인 비자금 조성이 있었다는 진술을 받아내고도 증거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개인 비리로 수사를 종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전직 다스 임원들이 검찰의 최근 수사과정에서 일부 입장을 바꾼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후폭풍이 예상된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다스의 BBK 투자금 회수와 관련한 의혹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신봉수 부장검사)는 최근 김성우 전 다스 사장과 권모 전 다스 전무 등을 소환해 조사하는 과정에서 자수서를 제출받았다. 자수서에는 과거 특검 등 수사에서 다스의 실소유주 등과 관련해 일부 잘못된 내용을 진술한 적이 있으며, 이번 검찰 수사에서는 사실을 말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법조계 안팎에서는 김 전 사장과 권 전 전무가 입장을 바꿀 다스 관련 내용이 조직적 비자금 조성 의혹에 관한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 전 특검이 14일 기자회견에서 공개한 ‘BBK 특검 수사진행상황’ 자료에 따르면, 당시 특검팀은 다스의 자금 흐름을 추적하면서 이 회사 회계담당 손모 대리를 조사했다. 손 대리는 “경리팀장이던 채동영씨로부터 비자금 조성 사실을 들었고 업무처리 과정에서 이를 알게 됐다”고 진술했다. 그러면서 비자금 조성에 김 전 사장과 권 전 전무, 경리직원 조모씨 등이 가담했다고 말했다. 정 전 특검팀은 다스에서 회계처리된 120억원의 수상한 자금이 비자금인지 횡령금인지를 두고 수사를 벌이고 있었다. 손 대리는 이후 진행된 추가 조사에서도 경리 직원 조씨 혼자서 횡령하는 것은 결재 시스템상 불가능하다며 사장, 전무의 지시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조씨와 김 전 사장, 권 전 전무 등은 정 전 특검 조사에서 손 대리의 진술과 배치되는 주장을 내놓았다. 조씨는 횡령 사실은 인정했지만, 이는 친밀한 관계이던 협력업체인 세광공업의 경리 담당 직원과 공모해 상사들을 속이며 벌인 개인적인 비리라고 진술했다. 김 전 사장과 권 전 전무는 횡령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고 밝혔다. 조씨가 횡령한 120억여원의 회삿돈이 개인 비리인지 조직적으로 조성한 비자금인지를 두고 다스 내부 관계자들의 진술이 엇갈린 것이다. 정 전 특검은 기자회견에서 “다스의 비자금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경리 직원과 관련자를 모두 조사했지만, 단독 범행이라는 것 외에 전무와 사장이 공범인지 여부는 밝히지 못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앞서 정 전 특검은 9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도 조씨의 진술 외에 단독 범행이라고 판단한 근거로 11가지 정황을 제시하기도 했다. 정 전 특검은 회사 차원의 이 돈이 수표로 인출돼 추적이 용이한 개인 계좌에 입금됐고 당사자들이 개인 자금과 섞어 관리하며 생활비 등으로 사용한 점, 임원진이 자금 현황을 점검하거나 조씨의 공범과 연락을 취한 일이 전혀 없는 점 등을 주요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최근 채씨 등이 “정 전 특검이 수사를 벌이던 2008년에는 새 대통령(이 전 대통령)이 당선된 분위기 때문에 사실을 말할 수 없었다”며 이 전 대통령이 다스의 실소유주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만큼, 특검의 이런 결론이 적절했는지도 검찰 수사에서 다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서울동부지검에 차려진 ‘다스 횡령 등 의혹 고발사건 수사팀’은 조만간 정 전 특검팀 관계자들을 소환 조사할 예정이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