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자리 봄날' 언제쯤?…장기 백수 14만7,000명 '사상 최대'

6개월 이상 실업자 비중 14.3% 차지하며 3년 만에 두 배로 증가

고용 한파 장기화 영향…일자리 전망도 '흐림'

서울시 청년 일자리센터에서 한 청년이 공부하고 있다. /연합뉴스서울시 청년 일자리센터에서 한 청년이 공부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용 한파가 길어지면서 반년 이상 구직활동을 했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소위 ‘장기 백수’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청년층을 중심으로 고용 사정이 수년간 악화를 거듭하면서 실업의 양뿐만 아니라 질도 빠르게 나빠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구직기간 6개월 이상 실업자는 14만7,000명으로 전년(13만3,000명)보다 1만4,000명(10.5%)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최대치로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2009년·8만 명)나 외환위기(2000년·13만8,000명) 때보다도 많은 것이다. 전체 실업자 중 6개월 이상 실업자 비중도 14.3%를 기록, 2000년(14.1%) 당시 역대 최고 기록을 17년 만에 다시 썼다. 2014년 7.5%였던 6개월 이상 실업자 비중은 2015년 10.0%, 2016년 13.1%를 기록하며 3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올라갔다.

관련기사



장기 백수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나 외환위기 때를 웃도는 것도 고용 한파가 길어지면서 실업자가 누적된 상황을 반영한다는 분석이다. 장기 백수가 늘어나는 것은 일자리 질이 악화하고 있다는 뜻으로 봐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대기업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장기 실업자 중 상당수가 원하는 직장을 찾지 못해 오랜 기간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들 중 일부는 일시적으로 구직을 포기해 취업준비생 등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됐다가 취업에 재도전하는 경우도 많아 실제 장기 백수 비중은 더 클 수 있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

한상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