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 시민, 소득 수준보다 못한 집에 산다…"주거비 부담 최고"

주택금융공사, 주택 임대 부담 정도 나타내는 주택임차가능지수 개발

서울 시민들이 주택 임대료 부담이 커 소득이나 재산 수준보다 못한 집을 골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서울 시민들이 주택 임대료 부담이 커 소득이나 재산 수준보다 못한 집을 골라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합뉴스


서울의 주택 임대료가 워낙 비싸다 보니 서울 시민들이 자신의 소득이나 자산 수준보다 떨어지는 집에서 살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은 17일 가구의 소득과 재산과 비교해 적정한 집을 빌릴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주택임차가능지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주택임차가능지수는 0∼200 사이의 값을 갖는데, 이 지수가 100이면 각 가구가 소득이나 재산 수준에 적정한 집을 빌릴 수 있다는 뜻이다. 지수가 100 이하면 임대료 부담이 커 소득이나 재산 수준보다 떨어지는 집을 골라야 하고 반대로 100 이상이면 임대료 부담이 적어 소득이나 재산 수준보다 괜찮은 집을 빌릴 수 있다는 의미다.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전국의 주택임차가능지수는 115를 기록했다. 2012년만 해도 110이었지만 4년 사이 115로 올랐다. 전반적으로 임대 부담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 보면 강원도가 148로 전국에서 소득 대비 가장 좋은 집을 살 수 있었다. 광주와 충북, 경북이 144로 2위였다. 반면 서울은 92로 가장 낮았으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100 이하였다.

관련기사



주택임차가능분포도로 보면 서울은 주택임차가능분포도와 기준선과의 교차점이 58%였다. 이는 소득 수준이 상위 42%는 돼야 주택 임대 시장에서 자기 소득 수준에 맞는 집을 고를 수 있다는 뜻이다. 경기도는 교차점이 35%에 있어 상위 65%까지는 소득 수준 이상의 집을 빌릴 수 있었다.

백인걸 주택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전국적으로 이자율 하락과 월세 시장 확대, 월세 안정화, 자산 및 소득 증가 등으로 임차 부담이 줄어들었지만, 서울과 저소득층은 여전히 부담이 있다”며 “지역이나 소득에 따라 주택금융정책과 임차시장정책이 차별적으로 수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