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지역 소매유통업계서 가장 큰 고민 ‘최저임금 상승’…편의점, 슈퍼마켓 80% 이상 경영애로로 지적

소매유통업체 2,020개점 중 36.7% 최저임금 상승 우려

부산 소매유통업계 매출 지난해 대비 0.2% 증가

물가상승 감안 사실상 역성장 전망

2018년도 소매유통업계에서 가장 우려하는 애로요인./제공=부산상공회의소2018년도 소매유통업계에서 가장 우려하는 애로요인./제공=부산상공회의소




올해 부산 지역 소매유통업계의 가장 핫 이슈는 ‘최저임금 상승’이 될 전망이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8일 오전 부산지역 업태별 소매유통업체 20개사 총 2,020개점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7년 부산 소매유통 경영동향 및 2018년 전망’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8년 지역 유통업계의 가장 큰 고민은 ‘최저임금 상승’으로 조사됐다. 실제 전체 응답 업체의 36.7%가 이를 경영애로로 지적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아르바이트와 파트타임 고용 비중이 높은 편의점과 슈퍼마켓은 각각 80.0%, 83.3%가 이를 경영애로로 지적해 ‘최저임금 상승’으로 가장 큰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이외에도 ‘영업시간 제한’, ‘의무휴일 확대’ 등의 규제 강화 우려로 인한 지역 유통가의 부담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영업시간 제한과 의무휴일제 확대’는 ‘최저임금 상승’ 다음으로 높은 비중(23.3%)을 차지했다. 이는 의무휴일제 주중 확대와 판매품목 제한, 백화점의 의무휴일제 도입 등 최근 유통규제 강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데 대한 지역 업계의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부산상의는 보고 있다.


기타 애로사항으로는 ‘온라인·모바일로의 소비채널 이동’, 20.0%, ‘업체 간 경쟁심화’ 16.7%, ‘청탁금지법’ 3.3% 등으로 나타났다. ‘청탁금지법’의 경우는 지난해 가장 큰 이슈였음에도 불구하고 올해에는 애로 요인 중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했다. 초기 혼란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시행 과정을 통해 법이 점차 정착단계에 접어들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조사 업체의 2018년 총 매출액 전망치는 7조 9,987억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매출실적 7조 9,850억 원과 비교해서는 0.2% 소폭 증가한 것이지만, 물가상승을 감안하면 사실상 마이너스 성장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올해에는 동계올림픽과 월드컵 등 각종 특수에 대한 기대가 분명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매출 전망이 불투명한 것은 가계 소비위축이 이런 특수마저도 상쇄시키고 있기 때문이라고 부산상의는 분석하고 있다. 업태별로도 사드로 인한 관광객 감소와 불경기에 따른 구매력 저하, 유통규제 강화 등으로 전년과 비교해 백화점 0.4% 감소, 대형마트 보합, 슈퍼마켓과 편의점은 각각 0.3%, 1.9% 증가할 것으로 조사돼 거의 모든 업태의 매출전망이 밝지 않다.

조사 응답 유통업체의 2017년 전체 고용인원은 1만9,540명으로 2016년 대비 1.1% 감소했다. 타 업종에 비해 계약직과 파트타임이 많은 유통업계의 특성을 감안하면,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이 예정된 올해에는 신규채용 감소, 계약해지 등으로 감원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