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한반도기 공동입장-아이스하키 단일팀, 여야 "평화올림픽 위한 고무적 성과" VS "올림픽 北에 상납"

여야는 17일 열린 남북 실무회담에서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에 한반도기를 앞세워 공동입장하고, 여자아이스하키 종목에서 단일팀을 구성하기로 합의한 것을 두고 다른 반응을 보였다.

여당은 “평화올림픽을 위한 고무적 성과”라고 높이 평가했지만, 보수야당은 “올림픽을 북한에 상납하는 것”이라며 강력히 비판하고 나섰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김현 대변인은 남북 합의가 나온 이후 구두논평에서 “평화올림픽을 만들기 위한 과정의 고무적 성과”라며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 정착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김 대변인은 “남북한이 국제 사회의 지지를 받으면서 지속해서 신뢰관계를 형성해감으로써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로 가는 디딤돌을 놓고 있다”며 “보수야당도 딴죽만 걸지 말고 한마음으로 평화올림픽을 위해 협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보수 야당은 즉각 반발했다. 자유한국당 장제원 수석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여자아이스하키 종목에서 남북단일팀을 구성하기로 합의한 것은 평생을 올림픽을 위해 노력한 선수들의 눈물과 피땀을 무시하는 행동”이라며 “한반도기를 앞세워 공동입장하는 것은 올림픽 개최국으로서의 상징인 태극기를 사라지게 한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어 장 수석대변인은 “이것이 우리 국민이 천문학적 예산을 들여 피와 땀으로 개최한 올림픽의 대가인가”라며 “문재인 정부가 평창올림픽을 북한에 상납하는 것에대해 국민은 반드시 응분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바른정당 유의동 수석대변인도 구두논평에서 “지난 4년간 올림픽을 위해 준비한 선수들의 땀과 노력이 정치적 목소리에 희생됐다. 한반도기 입장 결정도 국민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며 “매우 유감스럽다”고 언급했다.

국민의당은 일부 환영의 입장을 밝히면서도 신중한 태도를 고수했다. 이행자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공동입장 등을 통해 평화와 화합의 올림픽을 치르는 것은 환영할 만하다”면서도 “다만 평창올림픽은 경색된 남북관계 개선의 전환점과 비핵화의 계기가 돼야 한다. 비핵화에 대한 논의는 없이 북한체제 선전에만 그친다면 냉정한 평가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