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협력이 경쟁력이다

주철환 서울문화재단 대표

주철환 서울문화재단 대표주철환 서울문화재단 대표




지난해 10월 세상을 떠난 배우 김보애 선생은 한때 ‘한국의 메릴린 먼로’라고 불렸다. 화장품 업계 최초로 모델에 발탁될 만큼 뚜렷한 이목구비를 가진 분이었다. 내게는 특별한 추억을 선물한 분이다. 그분과 함께 두 번 평양을 다녀온 적이 있다. 부음을 접하고 낡은 앨범을 뒤져보니 평양에서 함께 찍은 사진이 꽤 많았다. 그는 배우이자 남북 문화교류 사업의 선구자였다. 직접 MBC에 찾아와 남북합동공연(민족통일음악회)을 준비하고 있는데 연출은 주철환 프로듀서(PD)가 맡으면 좋겠다고 콕 집어 요청한 분이다. 그분 덕에 ‘내 인생의 10대 뉴스’에는 항상 평양 방문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다.

지난 1999년 12월20일 오후 평양 봉화예술극장에서 공연한 민족통일음악회의 추억은 사진으로만 남은 것이 아니다. 신문에도 몇 차례 기고해 세기말 평양 모습의 단면을 생생하게 전했다. 기록은 기억을 부활시키는 힘이 있다.


그날 오후6시 ‘역사적’인 공연이 끝났다. 녹화된 내용물을 서울에 전송해야 하므로 나는 저녁 식사도 거른 채 조선중앙방송위원회로 향했다. 그런데 전혀 예기치 못한 일이 눈앞에 벌어졌다. 방송사 건물에 완전히 어두운 정적만 흐르고 있던 것이다. 순간 ‘거대한 사기극에 휘말린 것이 아닌가’ 하는 일말의 불안감이 몰려왔다. 라이터 불에 의지한 채 위성실로 걸음을 옮기던 중 전기가 들어왔다. PTS 방식으로 직접 평양과 서울의 음성교신도 이뤄졌다. 식은땀을 흘리는 내게 북측 공연담당인 김일남 연출가가 손을 꽉 거머쥐며 한 마디를 던졌다. “주 선생, 무슨 걱정이 그렇게 많습네까.”

관련기사



걱정이 사라지니 감격이 몰려왔다. 나는 졸지에 평양의 조선중앙TV에서 북측 방송인들과 밤을 새운 최초의 남측 PD가 된 것이다. 송수신이 벌어지는 동안 남과 북의 방송인들은 고려호텔에서 배달된 용성맥주를 들이켜며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눴다. 술을 따라주는 김 연출가를 ‘선배님’이라고 부르며 서울에 오면 잘 모시겠다고 약속했다. 송출이 끝나고 방송사를 걸어 나오는데 발길이 쉽게 떨어지지 않았다. 김 연출가는 “우리 집에 가 한잔 더 하자”고까지 했지만 그 아름다운 제안은 이뤄지지 않았다.

평창동계올림픽에 북한 예술단이 선수들과 함께 온다는 소식이 들린다. 통일이 되면 국가경쟁력이 엄청나게 높아질 거라고들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남북 사이에 화해와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 ‘협력(協力)’이라는 두 글자에는 ‘힘(力)’이 무려 네 개나 포함돼 있다. 힘 하나로는 어림없다는 얘기다.

천사의 3형제가 감사·찬사·봉사라면 문화의 3형제는 대화·변화·평화라고 말한 적이 있다. 대화로 변화를 모색하고 나아가 평화에 기여하는 것이 문화의 목표라는 뜻이다. 만약 평양문화재단이라는 곳이 있다면 나는 ‘통 큰 협력’을 한번 제안해보고 싶다. 정치·경제로는 어려운 길을 문화로 연결해보자는 기획이다.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봉화예술극장에서 내가 우울한 표정을 지을 때 당시 북측 협상 파트너이던 아태평화위원회의 김정철 참사가 들려주던 위로의 말을 기억한다. “주 선생, 일은 일그러져도 정은 얼그러집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