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NASA "2017년은 지구 역사상 2번째로 더웠던 해"

"엘니뇨 있었다면 가장 더웠을 것"

1980년 이후 월별 지구 평균기온 변화/ 연합뉴스1980년 이후 월별 지구 평균기온 변화/ 연합뉴스


2017년이 역사상 두 번째로 더웠던 해이고, 만약 엘니뇨(해수면 온도 상승 현상)가 있었다면 역대 가장 더웠을 것이라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8일(현지시간) 밝혔다.

NASA는 지구 표면의 평균 온도를 기준으로 할 때 2017년은 2016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고 말했다. 2014년 이후로는 3년 연속 최고 평균 온도 신기록을 기록했다. 이는 40년간 지속된 지구 온난화의 결과물이고,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이 가장 주된 원인이라고 NASA는 말했다.

NASA 고다드 우주연구소의 개빈 슈미트 국장은 “연간 기준으로 때때로 오르내리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지구가 뜨거워지는 추세에 있다”고 말했다. NASA는 특히 2017년에는 엘니뇨 현상이 없었음에도 사상 두 번째로 더웠던 점을 고려할 때 엘니뇨가 있었다면 가장 더운 해로 기록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태평양 중동부 칠레 연안에서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인 엘니뇨는 지구 표면 평균 온도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미 국립해양대기국(NOAA)은 NASA와의 공동연구에서 2017년이 역대 세 번째로 더웠던 해라고 발표했다. NASA와 NOAA는 측정 방법론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두 기관은 공통적으로 1880년 이후 기온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했다. NASA는 2017년의 지구 표면 평균 온도가 1951∼1980년 평균 기온과 비교할 때 화씨로 1.51도(섭씨로는 0.84도) 높았다고 말했다. 20세기 평균 온도와 비교하면 화씨로 1.6도(섭씨로 0.9도) 더 높았다. 2017년 미국에서는 역대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카테고리 1등급의 초강력 허리케인이 한 해에 3차례 찾아왔다. 연말 캘리포니아에서는 역대 최악의 산불 피해가 났다.

관련기사



트럼프 행정부는 온실가스의 지구 온난화 가속 현상을 과소평가한다. 전임 오바마 행정부 시절 마련된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속속 철회하고 있으며 파리기후협약 탈퇴를 선언하기도 했다. NASA와 NOAA는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지구 온난화 대응 정책의 변화로 인해 지구 표면 온도 변화를 연구하는 작업에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NOAA의 기후 데이터센터 국장 데케 안트는 “우리가 수행하는 분석은 이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진행됐다. 매년 그렇게 해왔다”고 답변했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

한상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