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언론, 페이스북 '언론사 등급제' 도입 반발

버즈피드 "뉴스, 리뷰로 평가하는 토스터 아냐"

이용자 설문조사는 공정성·신뢰성 확보 어려워

디애틀랜틱이 페이스북을 비판하며 인용한 레이놀즈 저널리즘 연구소의 언론사 신뢰등급 보고서. / 연합뉴스디애틀랜틱이 페이스북을 비판하며 인용한 레이놀즈 저널리즘 연구소의 언론사 신뢰등급 보고서. / 연합뉴스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이 선정적 보도와 오보 확산을 막기 위해 도입한다고 밝힌 ‘언론사 등급제’에 일부 언론이 비판에 나섰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지난 20일 이용자에 대한 언론 등급제를 실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저커버그는 “분열이 난무한 세상에서 널리 신뢰받는 뉴스 출처가 어디인지를 어떻게 고르냐는 난제를 두고 씨름해왔다”며 평가 방법에 대한 고민이 있었음을 밝혔다. 이어 “우리가 자체적으로 결정을 내릴 수도 있었으나 그런 방식은 불편한 면이 있다”면서 “외부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얻는 방식도 검토했는데 이를 통해서도 객관성의 문제를 풀 수는 없을 것 같았다”며 이용자 조사 방법을 택한 이유를 설명한 바 있다.


디애틀랜틱은 2017년 진행된 레이놀즈 저널리즘 연구소의 조사결과를 인용해 페이스북을 비판했다. 이 연구소 조사에서 이코노미스트는 가장 높은 신뢰도를 얻었고, CBS·USA투데이·뉴욕타임스 등은 중간을 조금 웃도는 평가를 받았다. 반면 IT 전문매체 버즈피드와 우익 성향 매체 폭스, 극우 언론매체로 분류되는 브레이트바트 등은 낮은 신뢰등급을 받았다. 디애틀랜틱에 따르면 이는 “이용자 설문조사가 언론매체의 권위에 대한 유일한 결정요소가 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방증”이라며 “이런 여론조사 방법이 출판물의 이데올로기 정도를 알아낼 수는 있을지 몰라도 유사한 이데올로기를 가진 출판물이 가진 매우 다른 편집 표준과 자원을 반영하지는 못한다. 이념성 매체라 해도 매우 엄격한 편집기준과 나름의 표준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이 조사에서 매우 낮은 평점을 받은 버즈피드는 “뉴스는 소비자의 리뷰로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있는 토스터가 아니다”면서 “직접 경험으로 사실을 확인할 수 없는 뉴스에 대한 소비자의 리뷰를 바탕으로 한 등급 책정은 효과가 없다”고 반발했다. 특히 “뉴스에 나타난 매체의 의견은 사회 정치적 문제에 대한 강한 정서적 애착에 의해 좌우된다”면서 “뉴스에 대해서는 사실을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미국 대선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진 러시아 매체 RT.com의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겐 인지도가 낮지만, 이 매체를 잘 아는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좋은 등급을 매기는 데 나서면 매체의 질과 상관없이 뉴스피드의 상위에 올라가게 될 것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반면 뉴욕타임스·NBC·CBS 등은 소비자들에게 친숙하고 언론윤리도 잘 정립된 언론사들이지만 페이스북의 이용자 설문조사가 제대로 작동할지는 미지수일 거라는 점을 지적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