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나노 약물전달체'로 항생제 사용 10분의 1로 줄인다

서울아산병원 주진명 교수팀 개발

"항생제 내성 및 부작용 억제 기대"

박테리아 표적 나노 약물 전달체 기술/ 연합뉴스박테리아 표적 나노 약물 전달체 기술/ 연합뉴스


기존 항생제의 10분의 1만 사용해도 체내 박테리아 감염 부위에 효과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국내 연구진은 최근 ‘나노 약물 전달체’를 개발했다. 항생제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었다. 항생제 과다사용 및 내성으로 인한 부작용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주진명 교수 연구팀은 파지 디스플레이(phage display) 기술을 이용해 펩타이드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펩타이드는 박테리아 감염이 일어난 조직만 선택해 작용할 수 있다. 파지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종류의 파지(phage·세균을 숙주로 하는 바이러스,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해 펩타이드(특정 표적을 인식하는 단백질의 일종)를 발굴하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이 펩타이드를 생분해성 실리콘 나노입자에 결합해 포도상구균에 선택적으로 항생제를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약물 전달체를 개발했다. 포도상구균과 같은 박테리아는 병원 등에서 감염될 수 있는 병원체로 폐렴, 패혈증의 원인이 된다. 특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은 일반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균이어서 반코마이신과 같은 더 독한 항생제를 사용해야 한다.


연구진은 포도상구균에 의한 감염으로 급성 폐렴이 발생한 쥐에게 반코마이신 항생제를 일반적인 정맥주사로 투여했을 때와 나노 약물 전달체를 통해 혈관에 주입했을 때를 비교했다. 그 결과 일반 정맥주사로 투여할 때보다 나노 약물 전달체를 이용했을 때 10분의 1의 항생제 용량으로도 폐렴이 완치된 것을 확인했다. 적은 양의 항생제로 박테리아 감염을 치료할 수 있다. 항생제가 유발할 수 있는 독성 등의 부작용 역시 완화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온라인 최신판에 실렸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

한상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