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쌍용차 인도원정대 "확답 못받았지만 국내서 투쟁할 것"

쌍용차 대책위 인도 원정 53일 만에 귀국

마힌드라 회장과 협상 타결 시도했지만

확답 못 얻어…귀국해 국내 투쟁 전개

민주노총 쌍용자동차 범국민대책위가 24일 서울 종로구 민주노총 교육원 15층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신다은 기자민주노총 쌍용자동차 범국민대책위가 24일 서울 종로구 민주노총 교육원 15층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신다은 기자


민주노총 쌍용자동차 범국민대책위원회는 24일 민주노총 교육원 15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도 원정에서 마힌드라 회장단과 구체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국내에서 투쟁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지난 12월 1일 대책위 소속 원정대가 쌍용차 최대주주인 마힌드라 그룹 임원진을 만나 해고자 복직을 확실히 하겠다며 인도 뭄바이로 원정을 떠난 지 53일 만이다.

윤충렬 쌍용차지부 수석부위원장은 “장기 해외 출장과 휴가로 아난다 마힌드라 회장을 만나지 못해 자동차 부문 고엔카 회장을 만났지만 ‘한국 경영진과 상의하라’는 원론적 입장만 제시했다”고 밝혔다. 원정대 측은 “최종식 쌍용자동차 사장도 전화를 걸어와 ‘귀국 후 해고자 복직과 손해배상 문제 해결을 논의하자’고 제안해 이에 응하기로 했다”며 “무엇보다 해고자 복직의 계기가 될 수 있는 주간 연속 2 교대제가 국내에서 논의되고 있어 귀국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득중 쌍용자동차지부장은 ”마힌드라 측과 한국 사측이 핑퐁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려웠지만 그들을 존중해 대화의 자리에 앉겠다고 했다”며 “국내에선 차수만 늘리는 모임이 아니라 9년 동안 합의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실제적 합의를 끌어낼 것”이라고 전했다. 쌍용차 지부는 해고자 130명을 수용할 대안으로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을 사측에 요구하고 있다. 김호규 금속노조위원장은 ”현재 쌍용차 공장 노동자들이 주당 63시간 장시간 노동과 높은 노동강도에 시달리고 있다“며 ”판매호조에 걸맞게 2교대제를 실시하면 130명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민주노총은 쌍용차 문제를 계기로 노사정위원회 참석 불가 입장도 명확히 했다. 김경자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은 ”쌍용차 문제의 시발점은 지난 노사정위원회 합의를 통한 정리해고법 도입이었다“며 ”정리해고법과 근로자파견법 등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주노총과 문 정부가 신뢰를 쌓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리해고법에 관한 대책을 정부에서 먼저 내 놓지 않으면 협상 테이블에 앉기 어렵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대책위는 이날 △쌍용자동차 과잉진압을 지시한 책임자 처벌 △쌍용차 해고자들에 대한 손해배상 가압류 철회 △한상균 위원장 석방 을 요구했다. 대책위는 오는 2월부터 해고자 복직 요구 집회와 주간연속 2교대 관련 공청회, 청와대 앞 1인 시위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금속노조위원장과 쌍용차 지부장 등으로 구성된 대책위 원정단은 지난달 1일 마힌드라 회장이 3년 전 “해고자 복직 문제가 해결되기를 희망하며 한국 경영진이 해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한 데 대해 협의하기 위해 인도 뭄바이로 떠났다. 지난 2009년 쌍용자동차는 노사 교섭 중인 파업 현장에 경찰특공대 1,000여명과 충돌해 290명이 부상을 입었다.

신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