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국토부 업무보고]올해 '스마트시티' 시범사업지 선정해 2021년 입주

'4차 산업혁명과 혁신성장' 주제로 보고

기존 도시 10곳도 스마트化

화성에 자율주행 실험도시 'K-City'조성

드론 공공수요 3,700대 발굴

스마트시티 개념도/자료=국토교통부스마트시티 개념도/자료=국토교통부





정부가 스마트시티와 자율주행차·드론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해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국토교통부는 24일 세종 컨벤션센터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4차 산업혁명과 혁신성장’ 정부 합동 업무보고에서 이 같은 방안을 보고했다.


우선 스마트시티와 관련해서는 오는 2021년 입주를 목표로 국가 시범도시 사업지구를 선정해 조성할 예정이다. 현재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 스마트시티 특위를 구성해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 중이며, 이달 말께 발표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존 도시 10곳에 대해서도 스마트시티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기존 도시 4곳에 대해 지역 특색에 맞는 특화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맞춤형 확산사업을 추진하고, 노후 도심 4곳에 대해서도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한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시티 모델을 만들기 위해 올 하반기에 연구·개발(R&D) 실증 도시 2곳을 선정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자율주행차와 드론 산업 육성 방안도 밝혔다.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대비해 오는 2020년까지 32만㎡ 규모의 자율주행 실험도시 K-City를 경기도 화성에 준공하고, 서울 도심에도 실제 도로를 활용한 테스트 베드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평창올림픽 자율주행 시승행사를 시작으로, 서울 도심 내 체험행사·인천공항 자율주행셔틀 운행 등 국민이 직접 자율주행을 체험해볼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자율주행차는 선진국과 같은 수준인 2020년까지 레벨3(고속도로 등 일정구역 내 자율 주행, 돌발상황 시 직접운전 필요) 자율주행차 상용화, 2022년까지 완전자율주행 기반 마련을 목표로, 기술개발·인프라 구축·국민체감 행사·제도 정비 등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드론 시장의 성장을 위해서는 국토·경찰·소방 등의 분야에서 2021년까지 공공수요 3,700대를 발굴하고, 우수 국산제품의 조달시장 진출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또 드론 전용비행시험장 2개소를 신규 조성하고 항공기급 무인기의 성능·인증 시험을 위한 국가 종합비행시험장을 전라남도 고흥에 2020년까지 설치할 예정이다. 아울러 5G·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드론의 원격·자율비행 관리체계 개발도 착수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건설 자동화·지능형 유지관리를 도입하여 미래 건설산업을 혁신하고 공기업에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신축건물 단열기준 강화 등을 통해 제로에너지 건축을 확대해나가는 한편 디지털 트윈 공간정보·스마트 공항·스마트 물류 등의 신규 산업도 적극 발굴하여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국토공간이라는 그릇에 4차 산업혁명과 혁신성장을 스마트하게 담아내겠다”며 “혁신성장을 통해 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은 물론, 미래 대한민국의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고병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