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신약 R&D가 미래다] 보령제약, 부작용·재발없는 표적항암제 임상 2상 앞둬





보령제약 연구원이 개발 중인 면역항암제에 대한 반응 결과를 현미경으로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보령제약보령제약 연구원이 개발 중인 면역항암제에 대한 반응 결과를 현미경으로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보령제약


보령제약(003850)이 올해 표적항암제·면역항암제 등에서 신약 개발을 가속화한다. 최근 글로벌 제약사들이 앞다퉈 항암제 개발에 나서고 있는 만큼 해당 분야에서 경쟁력을 쌓겠다는 취지다.

대표적인 후보물질로 보령제약의 자회사 보령바이젠셀에서 개발하고 있는 입양면역치료제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EBV) 특이적인 세포독성 T세포(CTLs)’를 꼽을 수 있다. 환자와 공여자의 혈액에서 면역세포를 분리한 뒤 바이러스 항원을 겨냥한 세포독성 T세포로 만들어 몸에 주입해 암세포를 없애고 환자의 면역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 자신의 면역세포를 이용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죽이기 때문에 부작용이 없고 재발을 방지한다. 현재 자연살상세포(NK) 및 T세포 림프종을 대상으로 임상 2상을 준비하고 있다.


EBV는 동양인의 경우 약 90%가 감염된 바이러스다. 정상인에게서는 바이러스가 암을 유발하지 않지만 면역체계가 손상되면 잠복한 바이러스가 활성화해 암을 유발한다. 주로 많이 발병되는 NK·T세포 림프종은 아시아권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병으로 완치 후 2년 내 재발률이 75%로 높고 재발시 별다른 치료법이 없어 상당수가 사망한다. EBV-CTLs가 상용화될 경우 재발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게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관련기사



실제로 지난 2015년 5월 미국 유전자세포치료학회의 공식 저널인 ‘몰리큘러 테라피’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항암치료 및 자가이식을 받은 림프종 환자 10명에게 EBV-CTLs를 투여한 결과 환자 10명 모두 생존하고 4년 무병생존율이 90%로 집계됐다. 보령제약 관계자는 “여러 표적으로 하는 암 항원에 따라 다양한 CTLs 세포를 생산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을 갖고 있어 적응증을 확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령제약은 2016년 화학연구원에서 도입한 PI3K 저해 표적항암제도 연구개발(R&D)하고 있다. PI3K는 세포 내 신호 전달 과정을 조절하는 효소로 악성종양에서 과발현돼 암세포의 생존·증식·전이에 영향을 미친다. 기존에 PI3K 억제제로 허가받은 제품으로는 글로벌 제약사인 길리어드사이언스의 ‘자이델릭’이 있다. 만성림프구성 백혈병, 여포형 림프종, 소림프구 림프종이 재발했을 때 처방되고 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