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정부, 평창 올림픽 앞두고 대북 제재 강화

中기업 2곳 포함 북핵 관련 9곳 특별제재...北선박 6척도

미국 정부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도운 중국과 북한의 기관 9곳, 북한 출신 개인 16명, 북한 선박 6척을 추가로 제재했다.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24일(현지시간) 이 같은 특별지정 제재 대상(SDN) 명단을 발표했다. 지난달 26일 미국 정부가 북한 미사일 개발의 주역인 리병철과 김정식 등을 제재한 지 약 한 달 만으로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여덟 번째 대북 단독 제재다.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남북한이 대화 국면으로 접어든 상황에서 나온 추가제재인 만큼 중단없는 대북 압박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특히 제재 대상 기관에는 베이징청싱무역과 단둥진샹무역유한공사 등 중국에 본사를 둔 무역회사 2곳이 포함됐다. 이들 중국 기업은 수백만 달러 상당의 고순도 금속 물질과 중고 컴퓨터 등을 북한 기업들에 수출했다고 재무부는 지적했다. 홍콩이 주소지인 CK 인터내셔널도 제재 명단에 올랐다.

스티브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이 백악관에서 대북 제제와 관련한 질문을 받고 있다.스티브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이 백악관에서 대북 제제와 관련한 질문을 받고 있다.


북한 전자업체인 하나전자합영회사와 해운업체인 화성선박회사, 구룡선박회사, 금은산선박회사, 해양산업무역 등도 북한의 대량파괴무기 개발을 도운 혐의로 제재 대상에 추가됐다.


북한의 정부 부처인 원유 공업성도 제재 대상이 됐다. 이는 북한으로 들어가는 원유 공급을 차단하려는 의지의 하나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제재 대상 선박은 북측 해운사가 보유한 구룡, 화성, 금은산, 을지봉, 은률, 에버글로리 호 등 6척이다.

개인 16명은 모두 북한 출신 또는 국적자인 관리와 기업인들이다. 이들 개인 중에는 조선련봉총무역회사의 중국과 러시아 지사 대표와 조선 노동당 간부 등 10명이 포함됐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부 장관은 성명에서 “북한의 제재 회피 책략에 연루된 관리들을 포함해 김정은 정권과 무기 프로그램에 자금을 대는 개인과 기관들을 표적으로 삼았다”면서 “유엔 안보리 결의에 따라 중국, 러시아, 그리고 다른 어느 나라에서든 북한 금융 네트워크를 위해 일하는 불법적 행위자들을 표적으로 삼고 있으며 그들이 현 거주국에서 추방될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뉴욕 = 손철 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