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국정원 "2001년 이후 해외진출한 우리기업 테러피해 76건"

국정원'해외진출기업 대테러협의회'…민·관 강력한 대테러 협력체계 구축

"ISIS, 우리 기업 진출 활발지역으로 근거지 옮기고 있어"

국정원은 25일 ‘해외진출기업 대테러협의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국정원은 해외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테러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대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연합뉴스국정원은 25일 ‘해외진출기업 대테러협의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국정원은 해외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테러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대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연합뉴스


2001년 이후 해외에 진출한 우리 기업이 겪은 테러 피해가 총 76건에 달했다.

25일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테러 피해는 대부분 아프리카·중동(46건)이나 아시아(29건)에서 발생했다. 유형별로는 무장공격이 38건으로 가장 많았고 폭탄테러(15건), 납치(15건), 시설파괴 등 기타(8건) 순이었다. 우리 기업의 테러 피해는 2006년 8건, 2012년 12건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다 2015년 이후로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국정원은 예방대책 제시 등 활발한 대테러활동을 진행한 것이 테러 피해 감소의 이유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그러나 “국제테러를 주도해 온 ISIS(이슬람국가)가 시리아와 이라크에서 점령지를 상실한 이후, 조직 재건을 위해 우리 기업의 진출이 활발한 아중동·동남아 등지로 근거지를 옮기고 있어 우려된다”고 전망했다. 이어 “ISIS의 쇠퇴에도 불구하고 국제테러조직 분화 등으로 해외 진출기업의 안전 위해 요인이 다시 늘어날 것”이라며 “진출지역에 대한 기업의 이해부족과 테러대책 미비가 위험을 더욱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국정원에 따르면 전 세계 87개국에 진출해 있는 1만2.000여 기업 중에서 테러 위험지역으로 분류된 24개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은 약 1.800여 개라고 밝혔다. 이 기업들에서 7.600여 명이 일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국정원은 이날 외교·산업·국토부·코트라·해외건설협회 등 유관기관과 해외 위험지역 진출기업 안전책임자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외진출기업 대테러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협의회에서 국정원과 유관 부처는 우리 기업의 안전한 기업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해 민·관 간 강력한 대테러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정부 차원의 테러예방 지원대책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국정원은 또 유사시 철수 가이드라인·주민친화활동 방법 등 상황과 국가별로 차별화된 맞춤형 정보지원도 해나갈 방침이다. 국정원 관계자는 “해외 위험지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안전한 활동을 뒷받침하는 것이 국정원 대테러활동의 주요 목표”라며 “기존 해외진출기업 대상 테러예방은 물론 진출을 계획 중인 기업을 대상으로 사전 위험요인 제거를 위한 컨설팅 활동도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