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서울경제TV] 현대차, 지난해 영업익 5조원 무너져… 5년째 1조씩 감소

현대차 영업익 증권가 예상치 밑돌아 ‘어닝쇼크’

현대차 美·中 글로벌 시장 판매 부진 시달려

현대차 노조 “임금 올려달라”… 24차례 파업

지난해 7만대 생산 차질·손실액 1조원 달해

현대차 “SUV·수소전기차 등 라인업 확대한다”







[앵커]


지난해 중국의 사드 보복과 미국 판매 부진 등 어려움을 겪은 현대자동차의 수익성이 2010년 이후 7년 만에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대차가 오늘 실적을 발표했는데,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은 결국 5조원을 밑돌았습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차의 영업이익이 7년 만에 5조원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지난해 매출액은 96조3,671억원, 영업이익은 4조5,74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이 무려 11.9%나 급감했습니다.

증권가의 예상치(4조9,340억원)을 하회 하는 어닝쇼크 수준입니다.

실제, 현대차의 영업이익은 2012년 (8조4,369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5년 연속 평균 1조원 가량 줄고 있습니다.


실적 악화의 주된 원인은 판매 부진.

관련기사



현대차는 2017년 글로벌 시장에서 450만여대를 팔았습니다.

이는 2016년(481만5542대) 대비 6.5%나 뒷걸음질 친 수치입니다.

2012년(441만대) 수준으로 후진한 셈입니다.

미국과 중국 시장의 동반 부진 여파를 피해가지 못 한 겁니다.

노사 문제도 걸림돌로 작용했습니다.

현대차 노조는 임금 인상 폭을 더 늘려달라며 24차례 파업을 벌였습니다.

172시간의 부분 파업으로 약 7만대의 생산 차질이 발생했고 손실액은 1조원에 달합니다.

올해도 판매 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현대차는 글로벌 흐름에 맞춰 SUV 제품군을 늘리고 수소전기차를 선보이는 등 친환경차 라인업을 확대해 판매를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소혜영]

김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