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알루미늄냄비에 김치찌개 끓이면…알루미늄 녹아 나와

경기보건환경硏, 산도나 염분이 높은 식품은 사용 시 주의 필요

알루미늄냄비에 김치찌개를 끓이면 알루미늄이 녹아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도나 염분이 높은 음식일수록 알루미늄 용기에 조리할 경우 식품 속에 녹아드는 알루미늄양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28일 지난해 3~12월까지 시중에서 판매 중인 알루미늄 조리기구 56개를 대상으로 음식물 조리 시 알루미늄 검출량을 조사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식품용 조리기구(알루미늄 냄비류)에서 이행되는 금속 용출량’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이 56개 알루미늄 조리기구를 실험한 결과 47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경우 평균 23.90 mg/L, 최대 115.21 mg/L의 알루미늄이 용출됐다. 나머지 9개는 표면 재질이 세라믹 등으로 코팅된 제품으로 이 경우 평균 1.78 mg/L, 최대 8.72 mg/L로 비교적 용출량이 적었다.


김치찌개·피클·김치라면·된장찌개· 설렁탕을 조리했을 경우 알루미늄 용출량을 조사한 결과 김치찌개에서 평균 9.86 mg/kg으로 가장 많은 양이 검출됐으며, 이어 피클(2.86 mg/kg), 김치라면(2.34 mg/kg), 된장찌개(1.64 mg/kg) 순으로 산도나 염분이 높을수록, 식품에 녹은 알루미늄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설렁탕과 같이 산도나 염분이 높지 않은 식품에서는 알루미늄이 나오지 않았다.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식품사용 알루미늄 허용기준은 200∼520mg/kg 이하이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알루미늄의 용출량이 인체에 유해한 수준은 아니지만, 조리기구를 통해서도 알루미늄 섭취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 만큼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특히 산도나 염분이 높은 식품에 장기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니켈 기준을 초과한 전골냄비 2건 1,234개 제품에 대해서는 즉시 회수, 폐기 조치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