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조선·자동차 등 위기업종 자금 지원하고 해양과학기술 클러스터 조성”…부산시, 2018년 경제정책 발표

월 위기업종 대상 자금지원 등 시차원 종합대책 추진

중소기업 자금지원 1조8,700억 지원

소상공인 특례자금 2,000억 확대, 소상공인 건강검진비 20만원 지원

부산시가 조선과 자동차 등 위기업종 대상으로 자금을 지원하고 해양과학기술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중소기업 자금은 2조원 가까이 풀고, 소상공인 특례자금도 2,000억원으로 확대한다. 부산시는 29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올해 경제정책 방향을 내놨다. 시는 올해 자동차와 조선 등 동남권의 산업체인으로 연결된 주력 제조업의 위기대응을 우선적인 정책으로 하고, 소상공인 등에 대한 지원강화로 서민이 잘 사는 도시, 그리고 4차 산업 혁명 등 세계 경제에 부응하기 위한 글로벌 경제화 등 3가지 정책에 초점을 맞췄다.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을 반도체 등의 업종에 힘입어 3%내외로 보고 있으나 부산을 비롯한 동남권은 주력산업인 조선과 자동차의 부진으로 동남권의 경제성장률은 1.18%로 추정되며, 부산도 2.25%로 추정(부산경제진흥원)되는 등 올해 제조업 중심의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부산시는 먼저 조선과 자동차부품에 집중한 자금지원 등이 포함된 부산시 차원의 종합대책을 빠르면 2월 초에 수립해 추진하고, 극동러시아 조선 무역사절단과 미국, 독일 등 자동차 선진국의 공동사무소 입주지원 등으로 판로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 해양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해양 신산업을 지역경제의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동삼혁신지구에 해양슈퍼컴퓨팅센터와 해양빅데이터센터, 교육연구동 등이 포함된 2,300억원 규모의 해양과학기술 클러스터(STEM빌리지, Science·Technology·Engineering·Mathemetics)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협력업체 324개사를 유치할 계획이다. VR·AR제작지원 거점센터도 만든다. 섬유산업의 경우 해양융·복합소재 센터와 해양레포츠 컨트롤타워를 지어 지역 섬유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달성할 계획이다. 지난해 223개였던 스마트 공장은 올해 290개로 확대하는 것은 물론, 센텀 일원에 8만㎡ 규모로 부산로봇산업 집적화 단지를 조성하는 등 제조업의 고도화를 통해 차세대 먹거리를 발굴할 계획이다.


1조8,700억원에 달하는 중소기업 자금도 지원한다. 중소기업에 청년들의 취업을 촉진하려고 서부산 산업단지에 출퇴근하는 청년에게 월 30만원의 전기차량비를 지원하고, 중소기업에서 5년 이상 재직한 청년에게 연간 100만원을 지원하는 웰빙카드를 지급한다. 부산청년 희망적금도 당초 2,000만원에서 2,400만원으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노인 재정일자리는 지난해보다 3,000개가량 늘린 3만3,000개를 지원한 계획이다. 여성일자리를 위해서도 일·가정 양립조례 제정 및 4·50대 여성일자리 종합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부산시는 지역 경제의 근간인 소상공인이 올해 급격히 증가하는 최저임금의 영향 등으로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보고, 지난해부터 실시중인 특례자금 1,000억원을 올해는 2,000억원으로 확대한다. 창업 이후 데스밸리 극복을 위해 100억원 규모의 펀드도 운영한다. 특히 전국 처음으로 소상공인의 복지를 위해 1인당 건강검진비를 20만원씩 지원하고, 장기안심상가 제도와 상가 매입 장기 저리 자금 융자 등을 통해 상권내몰림을 방지하기로 했다.

이밖에 전 세계적인 저성장시대와 4차 산업혁명 등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에 대응하는 지역 경제를 위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글로벌 진출, 산업구조 체질개선 등을 포함하는 부산경제 혁신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동남권 주력산업인 조선과 자동차의 동반 침체로 부산경제도 어려움이 예상되는 가운데 주력산업의 경영위기를 극복하고 향후 2030년 시민소득 5만불 달성을 위한 경제혁신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일자리가 풍무하고 시민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부산을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