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체외진단산업 발전을 위한 3가지 조건

이정은 체외진단기업협의회 운영위원장

이정은 체외진단기업협의회 운영위원장




‘혈액 한 방울로 수많은 질병의 유무와 위중도·치료효과를 판단하고 추적한다.’ 소설에나 등장하는 꿈의 문구일까. 아니다. 체외진단(In Vitro Diagnostics·IVD) 업계는 4차 산업혁명의 주요 동인을 실현하며 대상 질병의 범위를 급격히 확장하고 있다.

5년 이하 주기로 흥망성쇠가 급변하는 정보기술(IT) 기업과 달리 주요 글로벌 IVD 업체들은 50년 이상의 업력과 안정적인 리더십을 자랑한다. 이들의 과거 10년간 운영 성적을 보면 기업가치와 평가 배수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FTSE 기업군 대비 최소 2~3배 이상 높았다.


많은 국내 IVD 업체들도 세계 시장을 상대로 기술력을 인정받아 매출액과 이익률이 눈에 띄게 성장했다. 정부의 기술과 기업 육성 및 규제 개선에 대한 의욕도 강하다. 업계와 정부의 열의가 체외진단 산업의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 밑거름이 돼야 한다.

관련기사



먼저 창업부터 성공창출까지 단계별로 차별화된 재원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다른 산업과 달리 IVD업은 허가와 생산·유통 전반에 걸쳐 국가별로 서로 다른 규제의 통과의례가 있다.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면 첫 제품의 성공까지 설립 후 최소 10년 이상, 시제품 후 약 8년이 소요됐다. 창업만을 강조하는 정책은 자칫 많은 시제품 양산에 그치고 성공 사례는 희박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창업 후 7~10년이 지나 성공 직전의 기업이 추가로 확보할 재원이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또한 신흥 경제개발국과 국가 차원의 인허가·통관 협정 등이 필요하다. 허가 제도의 상호 인정 정책 등과 적극적인 무역협정에 정부 주도의 참여가 요구된다. 국내 판매의 필수 관문인 신의료기술평가에 대해서도 업계와의 다양한 소통을 통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가 개선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내 IVD 업체들의 수익 선순환 고리 진입을 촉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신기술 진단법에 대한 적정 가격 산정과 평가기간의 단축, 그리고 간접납품 업체의 폭리 통제 등에 업계와 정부가 힘을 합쳐야 한다. 잘 키운 국내 IVD 업체들이 기존 대기업의 성과를 훌쩍 뛰어넘는 재무 실적과 세계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때가 20년 이내에 도래하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