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광화문 현판 '검은색 바탕·금박 글씨'로 바뀐다

내년 상반기 교체 예정…문화재청, 정확한 글씨 색 찾으려 과학 실험

광화문 현판 촬영 실험. 검은색 바탕에 흰색, 금박, 금색(오른쪽부터) 광(光) 자가 있다. /연합뉴스광화문 현판 촬영 실험. 검은색 바탕에 흰색, 금박, 금색(오른쪽부터) 광(光) 자가 있다. /연합뉴스


경복궁 광화문(光化門) 현판이 내년 상반기에 검은색 바탕에 금박 글씨로 새롭게 교체된다.

문화재청은 경복궁이 재건된 1860년대에 제작된 광화문 현판의 색상이 검은색 바탕에 금박 글자임을 확인했다고 30일 전했다. 이로써 경복궁 중앙에 일렬로 배치된 세 개의 문인 광화문, 흥례문(興禮門), 근정문(勤政門)과 중심이 되는 건물인 근정전(勤政殿)에는 모두 검은색 바탕에 금색 글씨의 현판이 걸리게 됐다.


광화문 현판은 2010년 복원된 후 색상에 오류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문화재청은 도쿄대의 1902년 유리건판 사진과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1916년 유리건판 사진을 근거로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씨가 옳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1893년 9월 이전에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미국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소장 광화문 사진이 2016년 발견돼 논란이 재점화됐다.

관련기사



이 사진에서 현판의 바탕색이 글자색보다 진해 검은색 바탕에 흰색이나 금색 글씨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문화재청은 중앙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흑백사진과 같은 현판 색상을 찾기 위한 과학 실험에 돌입했다. 흰색·검은색·검은색 옻칠·코발트색 등 4가지 색 바탕에 흰색·검은색·금색·금박·코발트색 등 5가지 글자 색을 넣은 현판 4개를 제작해 다양한 날씨와 조건에서 사진을 촬영했다. 광화문 주변 환경이 중건 당시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해 미니어처 촬영 실험도 진행했다.

이후 유리건판 사진 자료들과 대조하고 각 분야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현판의 바탕색과 글자색을 확정했다. 문화재청은 최종적으로 10월까지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내년 상반기에 색을 칠해 새로운 현판을 걸 예정이다. 광화문 현판은 2010년 복원 직후 균열이 발생해 색상 논란이 일기 전에 이미 교체가 결정돼 있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