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알고 보는 올림픽-컬링] 스톤, 비질만 잘 해줘도 5m는 더 나간다

빙판 위 미세 알갱이 제거하는

스위핑이 스톤 속도·방향 결정

3115A34 스위핑 수정_c




스킵(주장)이 ‘헐!’하고 외치자 선수들의 어깨 움직임이 더욱 빨라진다. 마법의 빗자루는 빠르게 오가며 얼음 바닥을 문지른다. 다시 스킵이 ‘워워’라고 하자 선수들의 비질 속도도 느려진다.

동계올림픽 때마다 국내 스포츠 팬들의 관심을 모으는 컬링 경기의 한 장면이다. ‘헐’과 ‘워’는 컬링 경기에서 스킵이 비질로 스톤을 이끄는 두 선수, 세컨드와 서드에게 내리는 지시다.


선수들이 빙판 위에 커다란 돌을 던지고 얼음 바닥을 닦기만 하는 것처럼 보이는 컬링은 사실 과학의 결집이다. 컬링은 빙판 위에 그려진 표적판 중앙에 무게 20㎏의 스톤을 던지는 방식으로 중앙에 더 가깝게 다가간 스톤으로 승부를 가린다. 이때 스톤의 속도와 방향을 결정하는 게 선수들의 비질, ‘스위핑’이다. 컬링 경기장의 얼음 바닥에는 쇼트트랙이나 피겨스케이팅과 달리 아이스메이커가 얼음 바닥에 물을 뿌려 만든 미세한 얼음 알갱이(페블)가 있다. 스위핑은 이 페블을 깎거나 녹이는 과정이다. 스톤은 15~30초 정도 미끄러져 나가는데 이 짧은 시간 동안 ‘헐(비질을 빠르게)’ ‘워워(비질을 느리게)’ 등의 동작으로 스톤을 원하는 장소에 도달하게 해야 하는 만큼 많은 체력이 소모된다.

관련기사



그렇다면 자칫 단순해 보이는 스위핑은 스톤의 이동 속도를 얼마나 빠르게 할까. 전문가들은 스위핑만으로도 스톤을 2~5m가량 더 나아가게 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한국스포츠개발원(KISS)에서 남녀 엘리트 컬링 선수 10명을 대상으로 아이스챔버(실험실) 내에서 스위핑 조건에 따른 스톤의 이동 속도를 산출한 결과를 보면 남성의 경우 스위핑 전 속도는 초속 1.24m에서 초속 0.58m로, 여성은 초속 1.25m에서 초속 0.57m로 줄어 스위핑이 스톤의 진로 속도를 높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스위핑이 컬링의 승부를 결정하는 절대 요소는 아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이스의 상태다. 컬링 아이스는 최적의 두께를 만들기 위해 한 번에 여러 겹으로 2.5~5㎝로 얼려 쌓는다. 이렇게 만들어진 아이스 위에 페블을 만드는데 이때 물의 양과 물방울의 크기, 습도 등 변수가 영향을 미친다. 스톤의 상태도 빼놓을 수 없다. 스톤은 스코틀랜드의 무인도 ‘에일서 크레이그’의 화강암으로 만든 제품만 올림픽에 쓰인다. 다른 지역의 스톤은 균열이 잘 생겨 올림픽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경기를 위해 스톤이 지급되면 선수들은 경기 전 9분간 아이스와 스톤의 상태를 체크해 전략을 짠다. 김태완 KISS 선임연구원(박사)은 “컬링 스위핑은 페블을 닦아 마찰을 줄여주고 바닥에 스크래치를 내 방향을 조절한다”며 “컴어라운드(상대 스톤을 피해 원하는 위치에 놓는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해 승부를 결정짓는 고도의 두뇌 게임”이라고 설명했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