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美 정부 '애플 배터리 게이트' 조사

법무부·SEC, 증권법 위반 점검

아이폰X 부진 겹쳐 실적 타격 전망

자료=구글자료=구글




애플이 구형 아이폰의 성능을 고의적으로 낮췄다는 일명 ‘배터리 게이트’에 대해 미국 연방정부가 조사에 나섰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현지시간) 미 법무부·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애플 배터리 게이트의 증권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라고 보도했다. 두 부서의 조사관들은 애플이 배터리 노후화에 따른 아이폰 꺼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운영체제(OS)를 업그레이드하면서 의도적으로 성능을 저하시킨 것과 관련해 애플에 정보를 요구했다고 WSJ는 덧붙였다.

관련기사



법무부와 SEC가 구체적으로 증권법의 어떤 조항을 근거로 조사를 진행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과거 사례로 볼 때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품 정보 공개를 제시간에 하지 않은 점이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애플이 고의적으로 아이폰 성능 저하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애플의 배터리 게이트는 이미 중국·프랑스·이탈리아 등 각국 규제·사법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 한국·미국·이스라엘·호주 등에서는 집단소송이 진행되고 있다.

배터리 게이트는 ‘아이폰X’의 판매부진과 겹쳐 애플의 실적에도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영국 투자은행 바클레이스는 애플이 배터리 게이트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배터리 교체비용을 79달러(약 8만4,500원)에서 29달러로 인하한 결정이 신형 아이폰 교체 수요를 줄여 올해 총 102억9,000만달러의 매출 손실을 초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애플은 아이폰X의 올 1·4분기 생산목표를 당초 기대 수준의 절반인 200만대로 낮춘 바 있어 추가 타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