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우조선, 조선업 오랜 숙제 풀었다

도면 없이 의장품 자동 제작

스마트 팩토리 구축...첫 시연

경남 함양군 화인중공업에서 진행된 스마트 공장 시연회에서 이성근(오른쪽)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장이 무도면화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제공=대우조선해양경남 함양군 화인중공업에서 진행된 스마트 공장 시연회에서 이성근(오른쪽)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장이 무도면화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제공=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이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 도면 없이 선박 의장품 자동화 생산이 가능한 스마트 공장을 구축했다.


대우조선해양은 협력업체인 화인중공업과 선박에 설치되는 배관 파이프, 철 구조물 등 의장품을 도면 없이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첫 시연회를 했다고 2일 밝혔다.

관련기사



스마트 공장에서는 3D 입체모델 등 제품생산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바탕으로 로봇 공작기계가 의장품 등을 자동으로 제작한다. 아울러 설계 도면과 생산정보의 실시간 공유가 가능해져 재작업이나 수정작업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도면 해석부터 제작 단계까지 약 3주가 소요되던 기간도 절반 이상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기존에는 생산 도면을 작업자들이 직접 해석하고 작업을 진행하면서 종종 문제가 생기곤 했는데 스마트 공장이 완성된 만큼 업무 효율이 대폭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시연회에 참석한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조선소장은 “조선업계의 오랜 숙제로 거론되던 철 의장품 제작 자동화가 협력업체와의 노력 끝에 실현됐다”며 “향후 기술이전을 희망하는 협력업체에 시스템과 솔루션을 공급해 중소기업의 자생력을 높이는 한편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