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500km 달리는 전기차"…정부, 미래차 5년간 35조 투자"

2022년까지 완전 자율주행 기반 구축…500km 달리는 전기차 개발 등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오전 자율주행 자동차 시승행사장인 서울 서초구 만남의 광장 휴게소에서 신형 수소 자율차량인 넥쏘에 올라 현대자동차 자율차 개발팀장인 이진우 상무의 설명을 듣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2일 오전 자율주행 자동차 시승행사장인 서울 서초구 만남의 광장 휴게소에서 신형 수소 자율차량인 넥쏘에 올라 현대자동차 자율차 개발팀장인 이진우 상무의 설명을 듣고 있다./연합뉴스


한 번 충전으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전기차를 개발하고, 주요 도심과 고속도로에 2022년까지 완전 자율주행차 운행이 가능하도록 필요한 기반이 마련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2일 판교 기업지원 허브에서 개최한 ‘미래차 산업 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과 ‘자율주행 스마트교통시스템 구축방안’을 보고했다. 정부는 2022년까지 앞으로 5년간 전기·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분야에 민관 합동으로 35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미래차 산업 발전을 위해 우선 전기차의 약점인 주행거리와 충전 문제를 해결하기로 했다. 1회 충전으로 500km 이상 달릴 수 있는 전기차와 충전 속도가 2배 이상 빠른 ‘슈퍼차저’ 충전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매년 1,500기의 급속 충전소를 설치해 2022년까지 전국에 일반 주유소(1만 2,000개) 수준으로 1만기를 확충한다. 2022년까지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유지하고, 올해 보조금이 조기 소진될 경우 추가 예산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5G 기반 자율주행 통신기술도 개발한다. 2022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5,000km에 자율주행에 필요한 통신시설 등 인프라를 구축한다. 32만㎡ 규모로 고속도로, 도심, 교외, 주차시설, 커뮤니티 등 5개 주행 환경을 재현한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케이-시티’를 올해 완공한다. 기존 내연기관 부품기업과 IT기업의 교류·협력을 촉진하고 사업재편과 인수합병(M&A)을 지원하는 등 전통적인 자동차 산업과 IT 산업 등의 융합을 추진한다. 자동차 생산 경험이 없는 IT기업도 미래차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생산을 대행하는 ‘자동차 제작 서비스 전문기업’을 육성하고 개방형 전기·자율주행차 플랫폼을 개발해 중소·벤처기업에 제공할 방침이다.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