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경제TV] 정부, 혁신도시 지역성장 거점 육성

국가균형발전 위해 혁신도시 지역 거점화

지방 이전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30%로

한전 이전한 나주, 스마트에너지 도시로 육성

상반기 중 경남에 240병상 규모 종합병원 신설

건물 쉽게 짓게 용도·용적률 등 입지규제 완화







[앵커]


정부가 앞으로 혁신도시를 지역인재 채용 확대와 혁신도시 테마에 맞는 스마트시티 조성 등 지역발전을 선도하는 거점으로 키우겠단 복안을 내놨습니다. 지금까지 혁신도시 정책이 공공기관 이전을 중심으로 추진돼, 혁신도시를 당초 목적인 지역 균형발전의 거점으로 육성하는데 미흡했다고 진단했기 때문입니다. 보도에 정창신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오늘(2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혁신도시를 지역성장거점으로 육성하는 내용의 ‘혁신도시 시즌2 추진방안’을 내놨습니다.

우선 지방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이 지역발전을 이끌 수 있도록 지역인재 채용을 확대하고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해 추진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방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률은 2016년 기준 13.3%에 불과합니다. 이를 오는 2022년까지 30%로 높이겠단 겁니다.


공공기관이 자리 잡은 지역을 혁신도시 테마에 맞게 스마트시티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관련기사



한전이 이전한 나주를 스마트에너지 도시로, 도로공사가 이전한 김천을 스마트교통 도시로 만드는 식입니다.

여기에 의료·교통 등 인프라 투자도 추진됩니다. 우선 올 상반기 경남에 24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신설을 시작으로 내년 강원지역에 256병상 규모의 종합병원을 유치할 예정입니다.

혁신도시와 인근 지역간 이동 편의를 높이기 위해 고속철 운행확대, 고속·시외버스 경유노선 확대 등 광역교통망이 확충됩니다.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 조성도 추진합니다.

강원지역은 스마트 헬스케어, 경북지역은 미래형 자동차, 전북지역은 스마트 농생명 등에 특화된 도시로 육성하는 겁니다.

이곳에 기업들이 스며들 수 있도록 입지 규제 등이 완화됩니다. 기업이 공장 등 건물을 쉽게 지을 수 있게 건축물의 허용용도, 용적률·건폐율 등 규제를 완화해준다는 방침입니다.

정부는 오는 10월 시·도에서 혁신도시별 발전계획을 수립하면 이를 토대로 중앙정부에서 재정지원 등을 포한한 종합발전계획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정창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