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日 해킹된 가상화폐, 보관계좌 알면서도 환수 못하는 이유는?

화폐 계좌는 ‘지갑’에 불과…소유자가 누군지 알 수 없어

도난당한 NEM이 들어있는 지갑을 파악하더라도 그 지갑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연합뉴스도난당한 NEM이 들어있는 지갑을 파악하더라도 그 지갑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연합뉴스


일본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가운데 하나인 코인체크가 해킹당해 5억3,000만 달러(5,700억 원) 상당의 NEM(뉴이코노미무브먼트) 코인이 사라진 사건이 발생했다. 사건에서 큰 의문 중 하나가 해킹당한 코인이 들어간 계좌를 알면서도 돌려받지 못하는 이유다.

NEM을 관리·보관하는 국제단체 NEM파운데이션은 도난당한 NEM을 추적할 수 있게 ‘태그(tag)’를 붙이고 있다. 이 표시를 검색하면 해킹당한 NEM이 입금되는 계좌를 바로 알아낼 수 있다. 문제는 입금된 계좌를 파악해도 돌려받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강도가 돈을 훔친 경우 강탈한 돈이 있는 은행계좌를 알면 사법기관이 나서서 피해자에게 돌려줄 수 있다. 그러나 범인들이 훔쳐간 NEM을 보관하고 있는 곳은 정확히 말하면 계좌가 아니고 “(전자) 지갑”이다. 이 지갑을 손에 넣는 데는 본인 확인이 필요 없다. 신분을 밝히지 않더라도 누구라도 내려받기를 하면 손쉽게 지갑을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난당한 NEM이 들어있는 지갑을 알더라도 그 지갑의 주인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관련기사



기술적으로는 가상통화의 토대로 거래 이력을 공유하는 ‘블록체인’을 NEM파운데이션이 새로 만들어 도난당한 NEM을 강제로 코인체크에 반환하도록 하는 건 가능하다. 그러나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에 따르면 “NEM파운데이션은 다시 만들지 않는다”고 한다. 설령 부당하게 빼앗겼더라도 거래 자체를 “없었던 것”으로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홍태화인턴기자 taehwa@sedaily.com

홍태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