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검찰 'MB가 뇌물 주범' 판단…측근들 자백이 결정적 단서

'집사' 김백준, 구속 후 'MB 지시' 상세히 진술…김주성 '독대' 진술도 뒷받침

김희중, 처음부터 자신의 범행 인정…이 전 대통령 '윗선' 지목

검찰이 5일 이명박 전 대통령을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의 공범이자 주범으로 지목했다. 이 같은 검찰의 판단에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등 오랜 측근들의 진술이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다./연합뉴스검찰이 5일 이명박 전 대통령을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의 공범이자 주범으로 지목했다. 이 같은 검찰의 판단에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등 오랜 측근들의 진술이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다./연합뉴스


검찰이 5일 이명박 전 대통령을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의 공범이자 주범으로 지목하면서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처벌 의지를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이 같은 검찰의 판단에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등 이 전 대통령 오랜 측근들의 진술이 중요한 근거가 됐다. 이 전 대통령의 ‘집사’로 불릴 정도로 오랜 기간 그의 공적·사적 생활을 챙겨온 김 전 기획관은 지난달 13일 검찰 소환 조사 때와 같은 달 16일 법원의 구속 전 피의자심문 당시 금품 수수 사실을 일관되게 부인했다.


검찰 역시 김 전 기획관의 입을 단기간 내에 열기는 쉽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법원이 구속영장을 발부하고 결국 구치소에 갇히는 상황이 되자 김 전 기획관의 태도가 조금씩 변하기 시작했다. 그는 계속된 검찰의 추궁과 국정원 측 관계자와의 대질 신문 등을 거치며 금품 거래 사실을 인정하기 시작했다. 이어 기소를 얼마 앞두지 않은 시점에는 그간 함구하고 있던 이 전 대통령의 특활비 수수 지시와 용처 등까지 상세히 털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그의 진술 등을 바탕으로 이 전 대통령이 특활비 수수 범행을 기획하고 지시한 주범으로, 김 전 기획관은 지시에 따른 단순 방조범으로 판단했다. 특히 국정원이 보낸 4억원의 특활비 중 김 전 기획관이 자신의 몫으로 갖거나 자기 뜻대로 쓴 돈이 사실상 없었던 점에서 검찰은 김 전 기획관을 방조범으로 봤다.


김 전 기획관 외에도 이 전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전 의원과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김주성 전 국정원 기조실장의 ‘독대’ 진술도 검찰의 판단을 뒷받침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실장은 최근 검찰 조사에서 2008년 류우익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을 통해 이 전 대통령을 독대하고, 특활비 지원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취지의 ‘진언’을 했다고 진술했다.

관련기사



이 전 대통령 측은 “국정원 실장급 인사가 대통령과 독대를 한다는 것은 허무맹랑한 이야기”라고 반발했으나 검찰 관계자는 이날 “독대 사실은 김 전 실장의 진술로만 나온 얘기가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이 전 대통령이 국정원과의 특활비 거래를 알고 있었다는 점은 김 전 실장의 진술을 비롯한 여러 증거로 입증된다는 것이다.

한편, 김 전 기획관과 마찬가지로 이 전 대통령을 오랜 기간 근접 보좌하며 ‘분신’으로 불렸던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의 경우 아예 처음부터 자신의 범행을 인정하고 이 전 대통령을 ‘윗선’으로 지목했다.

특히 그는 지난달 19일 언론 인터뷰를 통해 국정원 측에서 받은 10만 달러(현재 약 1억870만원)를 미국 국빈 방문 전 김윤옥 여사 보좌진에게 전달했다고 폭로하며 “이 전 대통령이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법조계에서는 이 전 대통령에 대한 직접 조사가 2월 말∼3월 초가 될 것이라고 관측도 제기된다.

/장아람인턴기자 ram1014@sedaily.com

장아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