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전방 어린이!”…사고 피하는 자율주행차 내년 상용화

복수 5G자율주행차 교통 정보 주고 받으며 복합 구간 주행

어린이 무단횡단 · 앞차 사고상황 경고

무신호 교차로에서 차량간 소통 도와

5G와 HD맵으로 사각지대 어린이를 발견해 주변 차량에 경고를 주자,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멈춰서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5G와 HD맵으로 사각지대 어린이를 발견해 주변 차량에 경고를 주자,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멈춰서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5G자율주행차 두 대가 나란히 도로를 주행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5G자율주행차 두 대가 나란히 도로를 주행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이 5일 차량 간 소통을 통해 추돌사고를 우회하며 주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자동차 기술 시연에 성공했다. 복수의 차량이 서로의 경로 및 안전을 살피면서 협력 주행을 공개적으로 시연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 기술은 오는 2019년부터 고속도로 등 주요 도로에 적용될 전망이다.

이날 SK텔레콤은 국토교통부 산하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함께 화성 자율주행 실험도시 ‘케이씨티(K-City)’에서 2대의 5G 자율주행차가 교통 정보를 주고받는 협력 운행 기술을 선보였다.


이번에 선보인 기술은 자율주행차가 5G 통신을 이용해 어린이가 갑자기 차도에 튀어나오는 돌발상황이나, 안개로 인해 발생한 추돌사고를 우회해 이동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지금까지 자율주행 테스트가 카메라·센서를 기반으로 일반 차량과 장애물을 회피하며 주행하는 수준이었다면, 이날 시연은 차량간 서로의 경로, 안전을 살피며 협력 운행했다.

이 차량들은 △5G 차량통신 기술(V2X, Vehicle to Everything) △3차원(3D) 고화질 지도(HD맵) △딥러닝(인간두뇌와 유사한 심층학습) 기반 주행 판단 기술을 활용해 서로 통신했다.

스쿨존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속력을 줄이는 것은 물론, 어린이 모형이 갑자기 차도로 나타나자 가로등에 설치된 CCTV가 5G망으로 차에 어린이 접근을 전파했다.

차는 급정거한 후 어린이 모형이 사라진 것을 확인하고 운행을 재개했다. 반응속도는 단 1ms(0.001초)에 지나지 않았다.


이어 고속도로 출구 구간에서 다중 추돌 사고가 발생하자 앞차는 사고 정보를 뒤따르는 차량과 관제센터에 이 정보를 전달했다.

관련기사



뒤차는 사고 정보를 받고 주행 차선을 바꿔 사고 지점을 안전하게 통과했다. 무신호 교차로에서는 5G로 상호간, 관제센터와 교신하며 통행 우선순위를 알아서 정했다.

양 기관은 이를 위해 삼성전자와 협력해 작년 12월 36만㎡(11만평) 규모의 K-City 전 구간에 28GHz 초고주파대역 5G망을 구축하고, CCTV·신호등 등 교통 인프라와 자율주행차, 관제센터를 5G로 연동했다.

SK텔레콤과 공단은 이번 시연에서 K-City 주행도로의 차선 정보와 주변 교통표지판, 신호등 등의 정보를 cm 단위로 표현한 HD 맵도 공개했다. 자율주행차가 이동하는 동안 주변 차량의 실시간 위치, 신호 및 교통정보, 공사 및 사고 등 주행 정보가 실시간으로 맵에 반영돼 자율주행차의 주행 판단을 돕는다. 이에 따라 카메라와 센서 성능이 저하되는 악천후, 야간 등 특수 환경에서도 자율주행차의 사고 확률이 줄어들게 된다.

SK텔레콤은 이 밖에도 서울대, 엔비디아와 함께 개발하고 있는 주행판단 인공지능 기술을 소개하고, 해킹 시도를 원천 차단하는 양자 기술 기반 보안 모듈을 자율주행차에 조만간 탑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G 자율주행 세단 외 5G 자율주행 전기버스, 5G HD맵 제작차량 등 다양한 자율주행용 차량도 이날 공개됐다.

국토교통부, SK텔레콤, 공단은 앞으로 K-City 5G 통신망, 관제센터, 기술 등을 다양한 기업과 연구기관에 개방하기로 했다. 또 SK텔레콤은 5G통신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을 2019년부터 고속도로 등 주요 도로에서 선보일 계획이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K-City는 다양한 실제 시험환경에 5G 통신시설까지 구축돼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차 테스트베드”라며 “자율주행차가 최첨단 5G 통신기술과 결합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성원 SK텔레콤 MNO사업부장은 “이동통신망의 안전성을 기반으로 V2X, 3D HD맵 등 5G의 강점을 더욱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