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조희연 "학종전형 칼 안대면 살아남지 못해…대수술 필요"

"좋은 제도가 치열한 경쟁 속에 왜곡…진지한 개선검토 요청"

조희연 교육감은 6일 서울시교육청이 마련한 ‘학종 공정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기자회견에서 학생부 종합전형의 개선을 촉구했다./ 연합뉴스조희연 교육감은 6일 서울시교육청이 마련한 ‘학종 공정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기자회견에서 학생부 종합전형의 개선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현재 학생부종합전형은 칼을 대지 않고는 살아남을 수 없다”면서 ‘대수술’을 제안했다.

조 교육감은 6일 서울시교육청이 마련한 ‘학종 공정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발표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불평등한 사회에서 안정적 직업과 삶을 확보하려는 치열한 경쟁을 지속할 수밖에 없는 ‘불변하는 조건’ 아래서는 아무리 좋은 제도도 왜곡효과나 풍선효과를 만들어내게 된다”면서 “학종도 각종 기상천외한 일탈을 만들어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돈의 힘’으로 자기소개서나 소논문 등 학종 서류를 만들어내는 일, 대학교수인 아버지가 자녀를 논문 공저자로 올려주는 일, 소위 일류대학이 고등학교 서열 내에서 우수학생을 뽑으려 학종을 활용하는 일 등을 악용 사례로 지적했다.


그는 “국·영·수 성적이 나쁜 학생에게도 대학진학 기회를 넓혀준다는 가치지향과 학종을 비롯한 모든 교육경쟁이 공정해야 한다는 가치지향이 학종 내에서 충돌한다”면서 “이 때문에 고교 진학교사들은 학종의 장점을 옹호하지만 공정성 측면에서 학생·학부모는 불신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또 “사회 불평등과 격차, 가혹한 경쟁을 완화해 과도한 사교육 투자와 투자가치를 감소시켜야 한다”면서 “금수저-흙수저 논쟁 등 학종을 둘러싼 문제를 모두 학종 자체의 문제로 환원해 설명할 순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렇게 서로 다른 가치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학종의 교육적 방향성과 공정성을 높이고자 대대적 개선이 필요하다”면서 “학종과 다른 대학입시 방식 간 균형을 찾아야 한다는 생각에 학종 대수술을 제안하게 됐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조 교육감은 “학종은 현 대입전형 중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미래역량을 입시에 연결하는 유효한 도구라는 점에서 사라져야 할 유물로 치부하기 어렵다”면서도 “학종을 무조건 옹호하는 편향에 빠져서도 안 된다. 정부와 대학교육협의회는 교육청 개선안을 진지하게 검토해달라”고 주장했다.

/한상헌인턴기자 aries@sedaily.com

한상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