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티빙, CP에 광고매출 90% 배분 '스케일업'

CJ E&M 개방형 플랫폼으로 개편

실시간 방송 네트워크도 무상지원





CJ E&M(130960)의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 티빙이 광고매출의 최대 90%를 콘텐츠사업자(CP)에게 배분하는 등 상생을 기반으로 한 개방형 플랫폼으로 진화한다.


티빙은 6일 기존의 CJ E&M 콘텐츠 중심의 플랫폼에서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 콘텐츠를 총망라한 개방형 플랫폼으로 개편하고 콘텐츠 사업자(CP)와의 상생을 확대하는 ‘티빙 2.0 스케일업’ 전략을 발표했다.

관련기사



티빙은 콘텐츠 사업자들이 티빙의 인프라를 활용해 광고사업을 직접 진행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파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우선 콘텐츠로부터 발생한 광고매출의 최대 90%를 수익 배분해 최소한의 운영비를 제외한 매출이 콘텐츠 사업자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했다. 그간 OTT 사업자들의 권한이었던 편성권과 광고영업권도 콘텐츠 사업자에게 개방하고, 자체 광고영업이 어려운 영세 사업자들에게는 광고영업까지 지원한다.

또 실시간 채널이 없는 디지털 콘텐츠 사업자들도 디지털 실시간 채널을 구축할 수 있도록 각종 기술지원을 비롯해 실시간 방송에 수반되는 높은 네트워크 비용까지 무상으로 지원한다. 이와 같은 콘텐츠 사업자의 채널과 VOD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티빙은 신규 서비스 ‘픽클’을 론칭한다. 픽클 서비스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콘텐츠 레이션 서비스로 기존 방송사는 물론 디지털 콘텐츠, MCN 등 다양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검색 및 구독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조대현 CJ E&M 콘텐츠사업본부장은 “창작자들에게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성장동력을 제공하고, 사용자들에게는 폭넓고 매력적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해 공급자와 수요자가 함께 성장하는 플랫폼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