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가요

[종합] 아이유·혁오·방탄 노미네이트…한국대중음악상, 24개 부문 치열한 경쟁 예고

/사진=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회 사무국/사진=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회 사무국


상업적 성공보다 음악의 예술적 가치와 전문성을 강조하는 ‘한국대중음악상’이 제 15회를 맞아 수상 후보를 공개했다. 아이유와 혁오부터 방탄소년단 등이 이름을 올리며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6일 오전 11시 서울 프레스센터 19층에서는 제 15회 한국대중음악상 각 분야 후보 및 공로상 수상자 발표 기자회견이 개최됐다. 현장에는 선정위원장 김창남, 선정위원 강일권, 김윤하, 조일동이 참석했다.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은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회가 주최하는 대한민국의 음악상으로, 판매량이 아닌 음악의 예술적 가치를 선정 기준으로 삼아 주류, 비주류의 경계 없이 한국대중음악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만들어졌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2016년 12월 1일부터 2017년 11월 30일까지 12개월 동안 발매된 음반을 대상으로 심사했다. 올해 한국대중음악상은 작년과 동일하게 종합분야(올해의 음반, 올해의 노래, 올해의 음악인, 올해의 신인) 4개 부문, 장르분야(최우수 록 음반/노래, 최우수 모던록 음반/노래, 최우스 메탈&하트코어 음반, 최우수 팝 음반/노래, 최우수 댄스%일렉트로닉 음반/노래, 최우수 포크 음반/노래, 최우수 랩&힙합 음반/노래, 최우수 알앤비&소울 음반/노래,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재즈 음반, 크로스오버 음반, 최우수 연주) 18개 부문, 특별분야(공로상, 선정위원회 특별상) 2개 부문 등 총 3개 분야 24개 부문에서 시상을 진행한다.

김윤하 선정위원은 “후보 선정자 기준은 이전과 크게 달라지 않았다. 올해는 56인의 선정위원으로 구성이 됐으며, 이전보다 선정위원에 대한 자격 기준을 조금 더 타이트하게 가져갔다”며 “이와 함께 여성 선정위원의 비중을 늘리기 위해 고민했고, 기존 평론가, 방송국 종사자와 더불어 공연 프로듀서, 음악신에서 활약하고 있는 전문가로 선정위원 기준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사진=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회 사무국/사진=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회 사무국


그 가운데 아이유와 혁오는 가장 많은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아이유는 올해의 음반, 올해의 노래, 올해의 음악인 후보에 올랐으며, 최우수 팝 음반, 노래 후보에 선정되기도 했다. 혁오 역시 올해의 음반, 올해의 노래, 올해의 음악인 후보에 올랐으며 최우수 모던록 음반, 노래 후보에도 선정됐다.


각종 음악 시상식에서 대상을 휩쓸고 있는 방탄소년단도 최우수 팝 음반, 노래와 올해의 노래, 올해의 음악인 등 총 4개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레드벨벳의 ‘빨간맛’은 올해의 노래, 최우수 팝 음반/노래 등 3개 후보에 노미네이트 됐다.

관련기사



강일권 선정윈원은 “장르적인 퓨전이 전 세계 대중음악의 흐름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한국 대중음악 역시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생각한다. 장르 퓨전에 대해 내부에서도 이 부분을 어떻게 나눌지 고심을 많이 했다”며 “현재 K팝 역시 전체적으로 힙합, 블랙뮤직 요소를 많이 받아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대중음악시상식은 어느 시상식보다 장르 음악에 대한 전문성을 심도 있게 고민한다”며 “각 장르 분과에 해당 아티스트들이 어느 장르를 표방하고 나서는지, 어떤 장르의 비중을 크게 차지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장르 분야를 선정했다”고 언급했다.

정병욱 선정위원은 “한 기획사에서 여러 후보가 올라오기도 했다. SM엔터테인먼트는 NCT 127, 레드벨벳, 태민, 태연 등이 오르기도 했다. 포크 음악 등 장르 분야의 약진도 있었다”고 설명하며 “메이저와 마이너의 격차가 점차 좁혀지고 있는 추세다. 방송 바깥에서 활동했던 음악들이 인디나 마이너로 취급받기보다 대중적으로 인정받는 경향이 커졌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한국대중음악상 입장에서 좋은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특별 분야인 공로상은 포크 가수 이장희가 선정됐다. 김창남 선정위원장은 “이장희는 유신체제 속에서 대표적인 금지곡 가수였다. 스타 가수였을 뿐 아니라 많은 밴드와 가수였던 프로 레코드 제작자이자 작곡가였다. 최근에 본인 스스로 자신의 음반을 내기도 하면서 음악 열정을 여전히 불태우고 계신 분이다. 조금 늦었다는 생각도 들지만 뒤늦게나마 이분의 업적을 새삼 평가하고 기릴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한편 제 15회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은 오는 2월 28일 오후 7시 구로아트밸리 예술극장에서 진행되며, 3월 중 EBS ‘스페이스 공감’을 통해 시상식 내용이 녹화 중계될 예정이다.

/서경스타 이하나기자 sestar@sedaily.com

이하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