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교육청 "학종 선발비율 3분의1로 규제…수시·정시 통합해야"

"공정성 위한 공적 규제·공론화 필요"…학종 개선안 발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연합뉴스조희연 서울시교육감/연합뉴스


서울시교육청이 서울 주요 대학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선발 인원을 전체의 3분의 1 수준으로 제한하고 학종 운영방안 및 공정성 확보방안을 논의하는 위원회를 운영하자고 제안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학생부종합전형 공정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6일 발표했다. 학종의 공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계속해서 제기되자 교육청은 지난해 4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개선안을 마련했다. 교육청은 “서울 주요 대학이 학종 선발 인원을 대폭 확대하고 선발 절차도 불투명해 특목고와 자율형사립고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면서 “학생과 학부모의 불신과 우려를 고려해 공적 규제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교육청은 서울 15개 주요 대학 학종 선발 인원을 전체의 3분의 1 이하로 묶어 학종, 학생부교과전형, 수능 선발을 같은 비율로 하자고 제안했다. 수시와 정시를 통합해 12월 수능 성적 발표 후부터 이듬해 2월까지 모든 대학입시전형을 함께 진행하자고도 제안했다. 대입을 단순화해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고교 3학년 말 학사운영도 정상화하자는 취지다.


교육청은 학종 공정성 제고를 위해 학부모 등이 참여하는 ‘학종 공정성 평가위원회’를 운영하고 대학별 평가결과를 공개하자고도 했다. 아울러 ‘학종 공론화위원회’를 마련해 학종 운영방안과 공정성 확보방안,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논의하자는 견해도 밝혔다. 교육청은 학생·학부모·교사 부담완화를 위해 학생부에 정규교육과정 활동 중심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자율·동아리·진로·봉사활동)만 기록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방안도 건의했다.

관련기사



학종은 사교육 영향을 줄여 다양한 학생을 선발하려는 취지로 도입됐지만 객관성이 떨어지고 ‘금수저 전형’이라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교육부를 비롯한 정부와 대학에 학종 ‘대수술’을 제안한다”면서 “현재 학종은 칼을 대지 않고는 살아남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