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액상화 경미한 수준, 중-장기대책 고려한 '건축구조기준' 개정 추진

지난해 11월 15일 경북 포항 지진으로 발생한 액상화 현상은 지난 중간조사 결과 발표와 마찬가지로 경미한 수준으로 최종 확인됐다.

액상화 현상이란 물에 포화된 느슨한 모래 지반에 지진과 같은 진동이 가해짐에 따라 지반이 약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6일 기상청과 공동으로 지난해 11월 19일부터 2달 동안 포항에서 발생한 액상화 현상에 대한 이 같은 조사 결과를 최종 발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포항지역 개발사업 지점 등의 기존 시추공 171곳, 중간 조사결과 발표 때 활용했던 시추공 10곳, 추가 시추한 31곳 등 모두 212곳을 대상으로 액상화 현상을 조사한 바 있다.

지반액상화지수(LPI,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법을 적용해 평가한 결과, 대책이 필요한 LPI ‘높음’ 이상은 주택지의 경우 1개소(3%)로 낮은 비중을 나타냈다. 논·밭에서는 42개소(34%)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액상화 발생 신고 및 조사를 요청한 31개 지점 가운데 지표투과레이더(GPR, Ground Penetrating Radar) 조사를 통해 발견된 25개 동공(洞空)에 대해서는 지반보강 조치가 진행됐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지난달 18일 이 같은 조사 결과에 대해 일본과 호주 등 국·내외 전문가 자문회를 진행했다.

관련기사



하마다 일본 와세다대학교 교수를 포함한 지진 전문가들은 “포항 지진으로 인한 액상화 현상과 피해는 경미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김진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우리나라 주요 건축·토목 공사 시 액상화 대책공법은 이미 시행 중이지만, 추가적인 공법연구가 필요하다”며 액상화 대비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국립재난연구원은 ‘한국형 액상화 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사업’에 포항시를 시범 지역으로 선정한 바 있다.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액상화 연구에 들어갈 방침이다.

정부는 액상화 발생에 대비하는 중·장기대책으로 액상화를 고려한 건축물 설계가 가능하도록 ‘건축구조기준’ 개정도 추진할 예정.

심재현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은 “이번 액상화 조사 결과 전문가들의 평가는 ‘경미한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앞으로 전문가와 시민 의견들을 수렴해 정부 차원의 대책을 수립하고 액상화 관련 기술 연구개발을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