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021년부터 재난현장에 로봇 투입

산업부 지능형 로봇산업 발전전략

중소 제조업 협동로봇 보급 확대

정부가 사람과 함께 일하는 협동로봇의 보급을 확대하기로 했다. 의료 분야의 서비스로봇을 상용화하고 재난·안전 분야에서는 오는 2021년부터 로봇을 시범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대구 로봇산업진흥원에서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능형 로봇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우선 중소 제조업종을 대상으로 협동로봇 보급을 확대해나가기로 했다. 협동로봇이란 인간의 활동을 보조해 제품을 생산해내는 로봇을 말한다.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 뿌리기업 등에 이 같은 로봇을 보급하면 업계의 최저임금 부담과 인력난 등을 덜어줄 수 있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올해 일부 공정을 대상으로 50대가량 시범 적용한 뒤 효과가 검증된 업종을 중심으로 보급을 늘려나가기로 했다.


성장 잠재력이 큰 스마트홈, 의료·재활, 재난·안전, 무인 이송, 농업용 등 5대 유망 분야에서는 서비스로봇 상용화를 추진한다. 특히 재난·안전 로봇은 2021년 경북 등 지역 소방본부를 중심으로 시범 적용하고 전국으로 확산해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로봇 선도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산학연 ‘협동로봇 공동협의체’도 구성해 운영한다. 구동·센싱·제어 등 로봇 부품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중장기 부품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로봇 연구개발(R&D)의 핵심부품 지원 비중도 10.5%(2017년 기준)에서 20%로 확대하는 등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로봇산업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발굴해 개선하고 ‘협동로봇 안전 가이드라인’도 마련하기로 했다.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중소 로봇기업에는 대출금리 차감 등 금융혜택도 지원된다. 로봇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평창동계올림픽과 연계한 체험기회도 제공된다. 강원도 횡성에서 스키로봇 대회가 개최되고 성화봉송 로봇, 안내 로봇 등도 선보인다.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