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테크

대체투자펀드도 '깜깜이·쏠림' 우려

정보 부족에 사모펀드 비중 92%

국내 대체투자펀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투자정보 부족, 유행에 따른 쏠림 현상 등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요즘처럼 주식과 채권 같은 전통자산의 변동성이 커지는 때에 대체투자가 보완재 역할을 해줄 수 있지만 국내 대체투자는 아직 투자 리포트 부족, 제약·바이오 쏠림 등 비슷한 문제를 갖고 있는 코스닥처럼 성장통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다.

7일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체펀드시장에서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하는 사모펀드 비중이 기형적으로 높아 투자정보가 일반에 제대로 공개되지 않고 해외 부동산 또는 매년 인기가 높은 자산에 신규 설정이 쏠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정 자산운용사가 설정해 흥행에 성공하면 다른 운용사들도 따라 하는 현상도 빈번하다.


실제 지난해 상반기 현재 대체투자펀드에서 사모펀드가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91.9%에 달한다. 주로 공제회나 보험, 중소형 금융기관 등 기관투자가가 참여를 하고 운용사는 이들을 위한 맞춤형 상품을 내놓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김필규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체투자펀드가 ‘기관을 위한 기구’에 그치고 있으며 일반 투자자들은 운용수수료나 운용수익률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대체투자를 많이 하는 기관끼리 정보 교환도 부족하다는 것이 김 선임연구위원의 지적이다.

관련기사



정보 습득에 한계가 있다 보니 너도나도 신규 투자대상 발굴 대신 유행만 좇는 경향이 강하다. 지난해 상반기 전체 대체투자펀드에서 해외펀드 비중은 29.2%로 지난 2010년 19%보다 크게 늘었는데 이는 해외 부동산이 돈이 된다는 인식 탓에 비중을 늘린 탓이라는 게 김 선임연구위원의 분석이다. 부동산 쏠림 현상은 최근처럼 미국 금리가 오르면 추가 비용이 발생해 수익성이 떨어지는 부작용 역시 생길 수 있어 위험하다. 실제 2012년부터 ‘붐’이 인 항공기펀드는 운용 업계에서도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고 비슷한 시기 인기가 높아진 선박펀드는 해운 경기가 하락하자 신규 설정 규모가 확 줄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대체투자펀드 구조와 수익률·성과 등 정보를 운용사가 공개 가능한 선에서 공시하게끔 하거나 전담 기관을 설치하는 등 투명성을 높이고 운용사의 전문성 역시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