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정부, 상반기 중 이공계 인재 육성 방안 내놓는다

문 대통령 "저출산 따른 이공계 인력난 해소" 주문

과기정통부 등 관계부처 인력육성 방안 마련 착수

문재인 대통령이 저출산에 따른 이공계 인력난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을 주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 등 관계부처들은 각계 의견을 수렴해 이공계 인력 육성방안을 올 상반기 중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7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이공계 기피현상과 저출산으로 심화하고 있는 이공계 인력 수급난을 극복할 방안 마련을 지시함에 따라 과기정통부·교육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가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문 대통령이 이공계 인재 양성 방안 마련을 주문한 것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과학기술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에도 이공계 기피 현상에 더해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은 물론 기업들도 우수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서울대 공대는 지난해 후기 석사과정 경쟁률이 0.96대1을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미달사태를 빚었다. 또 국내 자연계열 박사학위 취득자가 2014년 2,362명에서 2015년 2,282명으로 감소하는 등 이공계 기피 현상은 좀처럼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2016년 61만명이었던 고교 졸업생 수가 오는 2026년 45만명으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돼 이공계 인력난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까지 공학 분야에서만 연평균 2만8,000명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추산된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미래인재정책국을 중심으로 이공계 인력 확보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부처 간 협의를 거쳐 이르면 상반기 중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이공계 인력 처우 개선과 연구개발(R&D) 투자 확대 등 양적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젊은 과학자에 대한 지원도 늘리겠지만 학생들이 이공계를 선택하려면 과학기술에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고리타분하지 않은 대책을 내놓을 수 있도록 각계 의견을 다양하게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