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수출 훈풍 분다지만...소비·고용은 찬바람

기재부 '그린북' 발표

백화점 매출 줄고 실업률 상승

정부가 주요 거시경제 지표인 수출 호조를 부각하며 경기 회복을 점치고 있지만 국민의 체감 경기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은 느는데 고용과 소비가 주는 현상이 지속되는 모양새다.


기획재정부가 9일 발표한 ‘최근경제동향(그린북)’에 따르면 1월 백화점 매출액과 할인점 매출액은 각각 7.9%, 8.7% 감소했다. 백화점·할인점 매출액이 줄어든 것은 각각 2개월, 3개월 만이다. 1월 카드 국내 승인액 증가율도 0.2%에 그치면서 11월 6.6%, 12월 4.1%에 비해 둔화됐다. 소비자들이 백화점과 할인점에서 예전처럼 돈을 쓰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관련기사



소비 부진 탓에 지난해 12월 소매판매는 전달 대비 4.0% 감소했다. 이는 2011년 2월 이후 6년10개월 만의 최대 낙폭이다. 승용차 등 내구재에서는 8.6% 감소했고 의복 등 준내구재(-4.5%), 화장품 등 비내구재(-1.0%) 등도 소비가 줄었다. 소비 부진의 원인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경제 보복으로 중국인 관광객 수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 올해 1월 중국인 관광객은 전년 동월 대비 44.9% 감소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소비자심리지수도 지난해 12월부터 두 달 연속 떨어졌다.

일자리 정부를 자처하는 정부의 의지에도 고용지표 역시 상황이 좋지 않다. 지난해 12월 전체 실업률은 3.3%로 전년 동월 대비 0.1% 상승했고 청년실업률은 9.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청년실업률 상승 등 고용 상황이 미흡하고 주요국 금리 인상 등 대내외 위험이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박형윤기자 manis@sedaily.com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