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대표단 전용기 편명 ‘PRK-615’에 담긴 의미는

2000년 남북정상회담 날짜인 6월15일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일행이 9일 오후 인천공항에 도착, 삼엄한 경호를 받으며 평창행 KTX를 타기위해 이동하고 있다./영종도=이호재기자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 일행이 9일 오후 인천공항에 도착, 삼엄한 경호를 받으며 평창행 KTX를 타기위해 이동하고 있다./영종도=이호재기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을 비롯한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9일 타고 온 항공기는 ‘김정은 전용기’로 추정된다. 특히 이 항공기의 편명인 ‘PRK-615’에 관심이 쏠린다.

PRK는 북한의 영문 명칭인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에서 따온 것이다. 615는 2000년 1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던 6월 15일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방북으로 서해 직항로가 처음 열렸다.


이 항공기는 그간 북한 매체에서 ‘참매 1호’라고 소개된 러시아산 일류신(IL)-62 기종이다. 지난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폐막식 때 황병서·최룡해·김양건 등도 이 항공기를 타고 방남한 바 있다.

관련기사



김 위원장은 지난해 2월 장거리 미사일 발사 직전 동창리 발사장 현시 시찰 때 이 전용기를 이용했다. 지난 2015년 7월 원산 갈마비행장에서 열린 공군 지휘관 전투비행술경기대회 때는 이를 타고 사열비행을 하기도 했다.

‘김정은 전용기’는 참매 1호 외에도 한 대 더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매체 제로망은 우크라이나 국영 항공기 제작사인 안토노프사의 안토노프 An-148 기종도 ‘김정은 전용기’로 불린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항공사인 고려항공은 제재 대상이지만 전용기를 이용한 방남은 제재 위반이 아닌 것으로 정부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이 전용기는 인천공항에 대기하지 않고 북한으로 갔다가 11일 저녁 다시 인천공항에 돌아온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