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T맵, 이제 '안전 플랫폼'으로 진화

T맵 V2X 적용.. 앞 차량 급제동 여부 등 알려줘 사고 위험 줄여

T맵 이용자끼리 정보 전달

SK텔레콤은 전방 사고 징후를 뒤따르는 차량에게 일제히 경고하는 기술 ‘T맵 V2X(Vehicle to Everything)’를 모바일 내비게이션 T맵에 상용화했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은 전방 사고 징후를 뒤따르는 차량에게 일제히 경고하는 기술 ‘T맵 V2X(Vehicle to Everything)’를 모바일 내비게이션 T맵에 상용화했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제공=SK텔레콤




T맵이 앞 차의 급제동 여부를 알려 줘 교통사고를 방지해 주는 ‘안전 플랫폼’ 역할까지 하게 된다.

SK텔레콤(017670)은 앞 차량의 급제동을 뒤따르는 차량에 알려주는 ‘T맵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을 모바일 내비게이션 T맵에 적용했다고 13일 밝혔다. T맵 V2X는 T맵 이용 차량이 급제동하면 사고 위험이 있다고 판단해 최대 1km 내 뒤따르는 차량의 T맵 화면에 경고 문구를 띄운다. 악천후나 선행 대형 차량에 가려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유용할 전망이다.


인공지능이 스마트폰 모션 센서·GPS 정보·빅데이터 등을 이용해 앞선 차량의 급제동 여부를 판단하고 커넥티드카 플랫폼 ‘스마트 플릿’이 뒤따르는 차량을 추적해 경고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모든 과정은 LTE망을 통해 이뤄지며 T맵 이용자끼리 이용 가능하다.

관련기사



일반도로나 평균 속력이 낮은 구간에서는 100m 내외 후방 차량에, 고속도로에서는 최대 1km 후방 차량에 각각 위험을 경고한다. SK텔레콤은 도로별 평균 속력, 경사, 회전 각도 등에 따라 전국 도로를 580만개 구역으로 나눠 분석했으며 향후 시간 특성도 반영할 계획이다. T맵 V2X는 전국 고속도로 및 수도권 고속화도로에 우선 제공되며 국도 및 일반도로로 확대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소방차나 구급차 등 응급차량이 앞차에 ‘길 터주기 알람’을 보내거나 갓길에 차를 세운 운전자가 접근하는 차량에 ‘갓길 조심 알람’을 보내는 서비스 등도 선보일 예정이다. 향후에는 차량 매립형 내비나 다른 모바일 내비에 T맵 V2X를 탑재해 해당 서비스를 자율 주행차 플랫폼으로 까지 발전시키는 방안도 추진한다. 박진효 SK텔레콤 ICT기술원장은 “지난 2년간 빠르고 정확하며 고객 안전까지 고려한 차량 통신 기술을 개발해왔다”며 “T맵 V2X를 통해 확보된 빅데이터와 사용자 경험을 자율주행차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