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가계대출 조였더니 보험약관 대출로 향했다

1년새 4조 늘어 60조원 육박

금리 높고 다중채무자 이용 많아

차주·보험사 모두 부실화 우려



팍팍한 가계살림에 대표적인 ‘불황형 대출’로 꼽히는 보험계약대출 규모가 60조원에 육박했다. 1년 새 4조원이 급증해 5년 만에 최대로 늘었다. 정부의 주택대출 조이기로 은행권의 가계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다른 곳으로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고 다중채무자의 이용이 많은 보험계약대출이 급증하면서 차주와 보험사 모두 부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3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보험사의 가계 보험계약대출 잔액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57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이 매달 발표하는 속보치까지 감안하면 지난해 말 기준 59조원으로 추산된다. 1년 전(55조원)보다 4조원(7.4%) 늘어난 것으로 지난 2012년(10.5%) 이후 5년 만의 최대 증가율이다. 은행권 대출 문턱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2015~2016년만 해도 가계 보험계약대출 증가율은 각각 2.6%, 4.6%에 그쳤다.


보험계약대출이 급증한 것은 팍팍한 가계살림 때문이다. 가계부채는 가구당 평균 7,000만원을 넘어섰는데 가계 소득은 오히려 뒷걸음질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가계의 실질소득은 지난해 1~9월 전년 동기 대비 0.8% 쪼그라들어 7년 만에 마이너스 전환(-0.4%)했던 2016년에 비해 감소폭이 더 커졌다. ‘마지막 수단’인 보험에까지 손을 대는 가계가 늘어난 배경이다.

관련기사



문제는 보험계약대출이 은행 신용대출에 비해 금리가 높은데다(연 4~9%) 연쇄 부실 우려가 높은 다중채무자의 이용도 많다는 점이다. 금융연구원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보험업권의 다중채무자 대출액 증가율은 지난해 9월 말 9.0%로 저축은행 다음으로 가장 높았다. 가계의 보험계약대출이 늘면 결국 보험 해약으로 이어질 확률도 높아진다. 전용식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보험계약대출이 늘면 3~4분기 후 보험 해약 규모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며 “경기가 나빠지면 재정상태가 악화한 가입자가 보험계약을 해약할 가능성도 높아져 보험사의 유동성 부족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